씨티그룹, 머크 목표주가 하향
이로써 머크는 게임체인저에서 탈락이군요..
30%라는 수치는 아무래도 좀 어려웠나봅니다
3%빠지고 있네요 ..
그에비해 화이자는 오늘도 순항중이군요
이로써 머크는 게임체인저에서 탈락이군요..
30%라는 수치는 아무래도 좀 어려웠나봅니다
3%빠지고 있네요 ..
그에비해 화이자는 오늘도 순항중이군요
넵 제생각도 그렇네요 화이자가 순항하면 컨택트는 다시 오를듯요
머크정도면 몇백조짜리회산데...
역시 천조국행님덜은 무섭
천조국 행님들 가차없지요 ㅋㅋ 바로 한방에 훅 보내버리네요
화이자도 사짜느낌이라 조심해야할것 같아요.
백신도 임상 엉터리라고 폭로 당해서, 치료제 효능좋아도 임상검증 빡세게 하겠죠.
이건 약이 나빠서 그런게 아니라, 바이러스 자체가 박테리아와는 달리 케미컬 의약품으로는 잡기가 힘듭니다...
기전 자체가 복잡하고, 내성 문제도 많고 그렇거든요...항바이러스제 만들기가 쉬웠으면
진즉에 에이즈 완치 치료제, 감기 치료제, 대상포진 치료제 등이 나왔겠죠...
현재 중증 환자들에게 투약 중인 항바이러스제인 렘데시비르의 경우도
코로나19 초기 사태때 소규모 임상때 87%의 치료 효과를 보여서 도입됐는데,
실제로 대량 투약을 해보니 영 효과가 없다는 반응이죠...WHO에서는 아예 효과가 없다고 밝히기도 했고요.
경구용보다 효과가 좋은 정맥 주사형 항바이러스제도 이 정도면,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는 더 떨어지기 쉽습니다...
거기다 화이자나 머크 같은 대형 제약사들이 최근 코로나 사태때 보여준 임상 결과를 보면
약간...자기들 입맛에 맞게 임상을 설계하고 유리한 결과가 나오도록 의도를 많이 가진 듯 싶습니다...
어차피 세계 유수 대형 제약사라는 이름 값이 있다보니 다들 이러한 임상 값을 신뢰하는 경향이 크니 더더욱 그런거 같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