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수수료 공시했더니 되레 수익 늘어 , 네, 카, 토 등 10% 더 벌었다
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네이버파이낸셜·카카오페이·토스 등 간편결제 및 전자결제대행(PG)사 8곳 수수료 수익은 2022년 하반기 1조210억원에서 지난해 상반기 1조1217억원으로 9.9% 증가했다. 의무공시 제도가 도입된 2023년 이후 이들 업체의 수수료 수익은 매 반기 꾸준히 늘었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가장 많은 수익을 올린 곳은 네이버파이낸셜(4998억원)이었고, KG이니시스(3110억원), 카카오페이(1740억원), G마켓(605억원)이 뒤를 이었다. 비바리퍼블리카는 460억원, 토스페이먼츠는 185억원으로 토스는 총 645억원을 벌었다. 네이버·카카오·토스 등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 3사 수수료 수익은 전체의 66%를 차지했다.
빅테크 수수료 수익 증가 폭도 가팔랐다. 2022년 하반기 대비 지난해 상반기 증가율을 보면 토스페이먼츠는 54.2%, 비바리퍼블리카는 39.8%, 네이버파이낸셜 18.1%, 카카오페이 12.1%였다. 모두 평균치 9.9%를 웃돌았다.
[단독] 수수료 공시했더니 되레 수익 늘어… 네·카·토 등 10% 더 벌었다 정부가 간편결제 수수료 의무공시 제도를 시행한 지 2년이 지났지만, 업체들의 수수료 수익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시를 의무화해 업체 간 자율 경쟁을 유도하고 수수료 인상을 억제한다는 정책의 도입 효과가
https://n.news.naver.com/article/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