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게 팔아도 남는 장사, 일본 가격 후려치기에 한국 '초비상'
"싸게 팔아도 남는 장사"…日 가격 후려치기에 한국 '초비상' 일본 철강기업이 엔저(低)를 등에 업고 고품질 열연강판을 한국 시장에 저가로 쏟아내고 있다. 일본의 철강재 ‘덤핑 공세’에 가격 경쟁력을 잃은 포스코 등 국내 철강사는 초비상이다. 고객사 이탈이 본격화하면 국내 철강
https://n.news.naver.com/article/01...
엔低 업은 日 철강재 '저가 공습'
원·엔 환율 800원대 추락…2015년 이후 최저
고품질 일본산 열연강판, 중국산보다 저렴해져
올들어 수입 44% 증갉국내 철강업계 초비상
20일 업계에 따르면 올 1~8월 일본산 열연강판은 155만3000t 수입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4% 증가했다. 2021년 수입한 일본발(發) 물량(146만4000t)을 이미 초과했다. 지난해 연간 수입량(166만8000t)도 넘어설 전망이다. ‘철강산업의 쌀’로 불리는 열연강판은 냉연강판, 전기강판 등 거의 모든 판재류의 소재로 쓰이는 주요 철강재다.
엔저로 인해 고품질인 일본 열연강판의 수입 단가가 중국산보다 저렴해지면서 수입량이 늘었다는 분석이다. 1~8월 일본산 열연강판은 t당 80만7000원으로 중국산(t당 82만2000원)보다 싸다. 일본제철, JFE스틸, 고베제강 등 현지 철강사가 자국 유통 가격보다 15% 낮은 가격에 한국 시장에 덤핑하고 있다는 게 철강업계 설명이다. 국내 중소 철강사와 중견 가전업체를 중심으로 일본산 강판을 찾는 수요가 많아진 이유다. 원·엔 환율이 최근 100엔당 800원대로 떨어져 2015년 6월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하면서 일본 철강재 수입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에 유통된 외국산 열연강판 중 일본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58%로 전년 동기보다 5%포인트 늘었다. 중국산 비중은 같은 기간 41%에서 40%로 떨어져 일본산과 격차가 더 벌어졌다.
이진우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한국 철강업이 제조업 경기 및 중국 부동산 침체 여파로 위기에 몰렸다”며 “엄격한 산업 표준을 세워 수입 장벽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저가 中에 치이고, 日 덤핑에 휘청…韓철강업계 "고객사 이탈 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