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K-99 논문 공동저자 초전도체 4가지 요건 충족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6...
김 교수는 5일 한국일보와의 인터뷰에서 "LK-99를 초전도체로 볼 수 있는 근거는 4가지"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전기저항이 '0'인 상태
△옴의 법칙(전류의 세기가 전압에 비례하고 저항에 반비례한다는 원칙)
△불연속 점프(금속에서 저항이 떨어지는 쪽으로 전류의 점프가 발생)
△마이스너 효과(전도체가 자기장을 밀어내는 현상)
등을 기준으로 볼 때 "LK-99를 초전도체가 아니라고 볼 수 없다"고 했다.
그는 "이미 지난 4월 한국결정성장학회지에 게재된 국내 논문인 '상온상압 초전도체(LK-99) 개발을 위한 고찰'에서 1개의 샘플로 LK-99의 전기저항이 '0'에 가깝다는 점을 입증했고, 지난달 22일 사전 논문 공개 사이트에 올린 논문에서도 3개의 샘플이 모두 마이스너 효과를 나타냈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 교수는 자신이 미국 뉴욕타임스 등에 제공한 LK-99의 공중부양 영상도 상온 초전도체임을 입증하는 강력한 증거라고 주장했다.
영상에는 자석 위에 비스듬하게 떠있는 LK-99를 펜으로 건드리거나, 온도가 25.8도임을 가리키는 온도계 앞에서 LK-99가 떠있는 자석을 손으로 건드리는 장면이 등장한다.
김 교수는 "사람이 살고 있는 상온에서 아무런 압력을 가하지 않고도 손 또는 펜으로 초전도체를 건드리는 모습에 전세계가 흔들린 것"이라고 말했다.
LK-99가 '진짜' 상온초전도체라면 노벨상 수상도 유력할 것이라는 기대에 대해선 "국민들의 열망은 알지만 지금으로선 연구진에게 '노벨상의 노자도 꺼내선 안 된다'고 조언했다.
노벨상은 후보로 추천되는 과정도 까다롭고 운이 따라야 하는 일"이라며 선을 그었다.
김현탁 교수는 4가지 근거와 공중부양 동영상이 LK-99가 상온 초전도체임을 입증하는 강력한 증거라고 밝힘
또한 LK-99가 세계 최초의 상온상압 초전도체가 확실하다고 주장하면서도, 현재 연구의 성과를 바라보는 시선이 과열돼 있다고 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