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보다 비싼 2차전지, 포스코홀딩스 현대차 시총순위 추월 눈 앞
이차전지 아니면 주식도 아니라 분기 영익 3.5조 현기가
재수 없으면 포홀 제외 이차전지 소재 업체들 한테도 시총 따이겠네요 ㅋㅋ
지난 19일 POSCO홀딩스는 전일대비 1만1500원(2.36%) 오른 49만9500원을 기록했다. 장 초반 5.94% 뛰어오른 51만7000원을 터치하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한국거래소와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포스코 그룹주 6개사의 시가총액은 지난해 말 약 41조5900억원에서 이날 93조4800억원으로 7개월여만에 51조8900억원이 늘었다. 시총 증가율은 125%에 달한다. 자산총액 기준 10대 대기업 그룹 중 단연 1등이다.
특히 포스코 그룹주의 큰 형님인 POCO홀딩스의 시총은 연초 23조3900억원에서 이날 42조2400억원으로 18조8600억원이 증가했다. 하룻새 약 1조원 규모가 늘어난 것이다. 연초 대비 주가 상승률은 81%에 달한다.
이에 지난해 말 12위였던 POSCO홀딩스의 코스피 시총 순위는 이날 8위로 4계단 상승했다. 7위인 현대차와는 시총 차이가 5000억원 미만이다. 만약 다음날에도 주가가 2% 가량 오른다면 현대차를 제치고 시총 7위에 오르게 된다.
큰 형님 뒤에 바짝 붙은 코스피 시총 9위 포스코퓨처엠도 연초 대비 시총이 23조2400억원 급증했다. 주가가 연초 대비 167% 뛴 덕이다.
시총 증가율이 가장 큰 것은 포스코DX다. 포스코DX는 2차 전지소재 핵심 생산라인,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이어 최근 코스피 이전상장 기대감까지 더해졌다. 연초 9500억여원에 불과했던 시가총액이 전날 4조700억원 규모로 328% 급증했다.
증권업계 전문가들은 2차 전지 소재주로 변신을 꾀하고 있는 포스코 그룹에 찬사를 보낸다. 연일 몸값도 높인다. 이에 최근 에코프로 형제주로 인해 불붙은 2차전지 투심이 포스코 그룹으로 옮겨갈 것이라는 기대감이 크다.
이유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포스코홀딩스는 리튬, 니켈, 양극재, 음극재의 2030년까지의 생산 능력(CAPA) 구축 계획을 발표했는데 리튬 42만3000톤, 니켈 24만톤, 양극재 100만톤, 음극재 37만톤으로 지난해보다 모든 분야에서 생산능력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2026년 리튬사업 가치를 기존 4조9000억원에서 6조7000억원으로 상향, 목표주가도 종전 44만원에서 50만원으로 높였다.
하반기에도 시장 주도주가 2차 전지가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상반기 양극재에서 하반기에는 분리막 등 많은 소재까지 부문을 넓힐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안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2차 전지에 대한 '비중 확대'를 제시하면서 "올해 상반기까지 셀 기업이 가장 먼저 채워야 하는 소재는 양극재였기 때문에 상반기 2차 전지 중에서도 양극재가 주도했다"며 "하반기에는 양극재 뿐만 아니라 분리막 등 많은 소재들이 본격 계약이 체결될 것이기 때문에 계속 좋을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