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원자재 주간 전망: 미국 인플레이션 발표 앞두고 긴장감 팽팽한 원유 및 금 시장
(2023년 7월 10일 작성된 영문 기사의 번역본)
6월 미국 고용지표 둔화는 위험 요인인 인플레이션 퍼즐의 절반에 불과하다.
트레이더들은 연준의 다음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해 수요일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주시한다.
아시아장에서 이번 주 초 원유와 금 가격은 주춤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승세로 전환될 수 있다.
6월 미국 고용지표 둔화는 이번 주 원유와 금 가격에 대한 위험 요인인 인플레이션의 한 단면만을 보여 준다. 인플레이션 전체 그림을 완성하려면 수요일에 발표될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지켜봐야 할 것이다. 6월 CPI가 둔화된다면, 연준이 매파적 기조를 완화하고 추가 금리인상 횟수가 두 차례 이상으로 늘어나지 않을 것이다.
이번 주 CPI 발표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월요일 아시아장에서는 유가 및 금 가격이 모두 하락했다.
월요일 뉴욕 COMEX 8월물 금 선물 가격은 06:30 GMT 기준 0.2% 하락한 1,928.75달러를 기록했다. 지난주 동안에는 거의 변동이 없었다.
그리고 최대 원유 수입국 중국의 경제지표가 부진하게 나타나면서 유가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6월 중국 공장도가격(Factory-gate price)은 7년 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하락한 반면, 소비자 인플레이션은 2021년 이후 가장 둔화되어 부진한 수요를 되살리기 위해 추가 부양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월요일 브렌트유는 06:30 GMT 기준 0.7% 하락한 77.90달러에서 거래되었다. 지난주 1개월래 최고치 78.53달러를 기록하면서 지지난주 1.4% 상승에 이어 지난주에도 4.8% 상승했다.
WTI유는 0.7% 하락한 73.33달러를 기록했다. WTI유 역시 지난 금요일에 한 달 만의 최고치 74달러를 기록했으며 지지난주 2.1% 상승에 이어 지난주에는 4.6% 상승했다.
SKCharting.com의 수석 기술 전략가인 수닐 쿠마르 딕싯(Sunil Kumar Dixit)에 따르면, 박스권으로 인해 50일 지수이동평균 71.70달러로 제한될 수 있으며 이 수준을 돌파하지 못하는 경우 매도세가 진입해 70.30달러 및 68달러까지 조정을 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더 큰 가능성은 “상승 추세를 재개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지 영역에서 모멘텀이 축척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목표는 구간고점 73.90달러를 리테스트한 후 다음 상승 구간인 200일 단순이동평균 77.30달러 그리고 50주 지수이동평균 78.60달러의 저항선을 강력하게 돌파하는 것이다.”
하지만 월요일 유가 하락은 원유 및 연료 전반의 실질적인 공급 감소, 러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의 추가 감산 약속 등 지난주에 유가를 지지했던 펀더멘털에 의지하는 유가 강세론에 의해 제한되었다.
[이하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