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안타 리서치센터 데일리 섹터

유안타 리서치센터 데일리 섹터

G 4 2916 0 0
 

1746776905645.jpg

 

 

17467769060061.jpg

 

 

유안타 리서치센터 데일리 섹터 News & Comments(04/01)

■ 반도체 이재윤(02-3770-5727)

▶️글로벌 반도체 기업 주가
- 상승: TEL +1.9%, Qualcomm +0.1%
- 하락: AMD -8.3%, Intel -3.6%, Applied Materials -2.9%

▶️News & Data 
세계 최대 '냉각수' 공장 중단···삼성·하이닉스 반도체 생산 멈추나

삼성전자, DDR3 단종설 '솔솔'

중국 YMTC,  애플향 NAND 공급 개시 예상

미디어텍 'AP', 퀄컴·삼성 제쳤다


■ 디스플레이/이차전지 김광진(02-3770-5594)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Sumitomo +0.2%
- 하락: Baoan -5.2%, Ningbo Shanshan -4.2%, Panasonic -1.7%

▶️News & Data 
1~2월 車배터리, LG엔솔 2위…SK온 5위·삼성SDI 7위

롯데케미칼, 수소·배터리 소재에 10조 투자


■ 전기/전자 백길현(02-3770-5635)

▶️글로벌 전자부품 기업 주가
- 하락: Electrolux -4.6%, Whirlpool -4.2%, Qorvo -2.6%

▶️코멘트
삼성 폴더블폰 더 얇고 가볍게… 싱글 힌지 첫 채택
- 기사 링크: https://bit.ly/3uFSKh1

- 삼성전자는 폴더블 스마트폰 1세대부터 작년 모델 3세대까지 대당 경첩용 힌지를 2개씩 탑재해왔던 것으로 파악. 

- 2022년 하반기 출시 예정인 삼성전자 폴더블 스마트폰 내 탑재되는 경첩용 힌지 개수가 2개에서 1개로 감소할 것. 

- 수익성 확보 전략 중 하나로 풀이되며, 동시에 폴더블폰 단점인 무게와 두께를 줄여 휴대성을 높히기 위한 일 것. 

- 국내 폴더블 스마트폰 관련 국내 Supplychain 내, 파인테크닉스(106240 KS), 인터플렉스(051370 KQ)의 수혜가 있을 것으로 전망. 

- 2022년 삼성전자 폴더블 스마트폰 수요(출하량)은 YoY 110% 증가가 예상되고, 주요 부품(힌지, 디지타이저)의 ASP는 보수적으로 Flat을 가정해도 큰 폭의 외형 성장 가능할 것. 

- 올해 삼성전자 폴더블 스마트폰용 힌지는 2Q22초 디지타이저는 2Q22말 생산 예상되며, 관련 부품사들의 실적은 3분기부터 온기로 반영되며 실적 모멘텀 예상. 

- 폴더블로의 Form Factor 변화는 스마트폰에서 시작되, 태블릿/노트북 등으로 Application 확대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이며 실제 중화권 및 노트북 Vendor들의 기술 확보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 또한 긍정적이라 판단.
 
 
■ 화학/정유 황규원(02-3770-5607)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LUKoil +10.5%
- 하락: DuPont -3.9%, BASF -2.9%, Reliance -1.4%

▶️News & Data 
롯데케미칼 “수소 등 진출 2030년 매출 50조원 달성”

미국 역대급 비축유 방출에 유가 급락…WTI 7%↓

Ukraine invasion reshaping discussion about energy, pricing, renewables

Australian uranium companies announce merger plans

(중국 석화제품 가격 동향, 3월 31일)
- 상승폭 大: LLDPE +3.23%  HDPE +1.37%  천연고무 +0.92%  하락폭 大:  아디프산 △1.69%  2-EH △1.03%  산화프로필렌 △0.82%

(싱가폴 복합정제마진 동향)
- 2021년 4분기 6.1$ → 2022년 2월 7.2$ → 3월 4주 13.9$/배럴(과거 평균 6.0$, 손익분기점 4.5$) → 3월 31일 12.64$/배럴

▶️코멘트
(롯데케미칼)  2분기 석화 바닥 탈출 난망
-2022년 1분기 예상 영업이익 500억원(전분기 300억원, 전년동기 6500억원)으로 부진 지속.  유가 100달러 상승으로 2분기 원가 부담이 더 커질 것
(부문별 예상이익) 올레핀/아로마틱 30억원, 타이탄 △300억원, 첨단소재 550억원, 미국EG 180억원 등임
-설비 가동 축소) 1분기 적자제품인 EG/BD 축소에 이어, 2분기는 NCC 가동률 축소 진행됨(여수공장 대규모 정기보수도 진행).   수출 여건이 너무 안좋음.   중국 PE/PP 내수가격이 한국의 수출가격 보다 낮게 형성되고 있기 때문
-석화업황 반등 지연)  아시아지역 전반적인 가동률 축소 영향으로,  에틸렌 기준 idle 캐파 2,800만톤에 육박(아시아 수요 6,000만톤).   코로나 이전 2019년 업황 부진시기에 잉여캐파가 700만톤 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심각한 상황임.   하반기 수요 복원 되더라도, 스프레드 개선은 아주 천전히 이뤄질 것
- 연간 예상 실적)  예상 영업이익 3,000 ~ 4000억원(전년 1.5조원)


■ 철강/금속/자동차 이현수(02-3770-5718)

▶️글로벌 철강/금속 기업 주가
- 상승: U.S. Steel +1.9%, Nippon Steel +0.6%, Baoshan +0.3%
- 하락: ArcelorMittal -1.4%, Nucor -0.5%, JFE Holdings -0.3%

▶️글로벌 자동차 기업 주가
- 상승: Toyota +0.2%
- 하락: NIO -5.1%, GM -3.3%, BYD -3.0%

▶️News & Data 
현대차 전주공장서 사망 사고..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조사"

기아 K5 하이브리드 차량, 시동 꺼짐. 화재 발생 우려로 리콜

테슬라, 수년간 니켈 공급 비공개 계약…원자재 부족 선제 대처


■ 건설/건자재 김기룡(02-3770-3521)

▶️글로벌 건설 기업 주가
- 상승: Saipem +2.8%
- 하락: Technicas -3.5%, Chiyoda -3.1%, JGC -2.5%

▶️News & Data 
“다주택자, 집 팔아라”…인수위, 양도세중과 1년 유예키로

文, 매곡동 사저 팔아 17억 차익…靑 “시세 벗어나지 않은 정상거런

부동산 실거래가 정보 정확도 높인다...국토부, 인수위 보고

2·4대책 '현금청산자 대책' 세운다더니…공공개발 후보지 '불안' 

국토부, 부적격 건설사업자 상시 현장단속한다

국토부 고위직도 '똘똘한 한채'…3분의 1이 강남3구 주민 

2월 주택매매량 전년 대비 50%↓…거래절벽 속 미분양 증가

김헌동 SH 사장 "반값 아파트 6월 고덕·강일서 첫 선"

김헌동 SH 사장 "명품 반값 아파트 위해 '서울형 건축비' 도입해야"

국세청, HDC현대산업개발 세무조사 착수

DL이앤씨, 글로벌 탄소시장 진출 성공…국내 건설업계 '최초'

두산건설 11년 만의 '흑자'...작년 당기순이익 73억원
 
■ 통신서비스/지주회사 최남곤(02-3770-5604)

▶️글로벌 통신 기업 주가
- 상승: Plug Power +0.8%
- 하락: AT&T -2.1%, Siegfried -1.4%, Verizon -1.3%

▶️News & Data 
KT주주 쇄신 목소리엡구현모 "지주형 전환"

한화임팩트, 美 '유전자 치료제' 투자로 신약사업 겨냥


■ 인터넷/게임 이창영(02-3770-5596)

▶️글로벌 인터넷/게임 기업 주가
- 하락: Baidu -8.0%, Meta Platforms -2.4%, Paypal -2.4%

▶️News & Data 
네이버웹툰, 日 전자책 ‘이북재팬’ 인수 완료…“현지 거래액 1위 등극”

카카오, 헬스케어 법인 설립…600조 글로벌 시장 '정조준'
 
■ 화장품/음식료 박은정(02-3770-5597)

▶️글로벌 화장품 기업 주가
- 상승: Proya +0.3%
- 하락: YSG -5.3%, Estee Lauder -2.5%, Kering -1.8%

▶️글로벌 음식료 기업 주가
- 상승: MDLZ +0.0%
- 하락: EVK -2.5%, Ajinomoto -2.3%, Dali -1.4%

▶️News & Data 
거리두기 '10명·밤 12시' 완화 확정…5~11세 백신 접종 시작

중국 국무원, 상반기 경기부양 위해 693조원 지방정부 특별채권 발행 결정

국경간 전자상거래, K뷰티 신수출동력으로 부상

신세계인터내셔날, ESG 활동 강화

'밀 가격' 더 오르면 '라면·빵' 또 오른다

1000원으론 과자 한 봉지도 못 사네…롯데제과, 과자·아이스크림 가격 인상

농심 '신라면 볶음면'으로 태국 홀린다…방콕서 론칭 행사


■ 소매/유통 이진협(02-3770-5659)

▶️글로벌 유통 기업 주가
- 상승: Seven&i Hodings +0.6%
- 하락: Coupang -5.5%, Macy's -4.7%, Target -4.4%

▶️News & Data 
상장 노리는 '마켓컬리'…지난해 매출 1조5614억, 64% ↑

[단독]"5월부터 넓어지는 하늘길, 여름엔 예년 50% 회복"···격리 면제 후 항공·여행 ‘봄날’ 오나

[단독] "카드 판 바뀐다"…'3조 몸값' 롯데카드 매각 시동

중고나라 "편의점에서 비대면 중고거래"…롯데와 본격 협업

쿠팡이츠 이어 배민1도 비용 올라…일선 식당, 해지 검토키도
 
■ 은행/증권/보험 정태준(02-3770-5585)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HSBC +0.5%
- 하락: Morgan Stanley -3.2%, JPMorgan Chase -3.0%, Credit Suisse -2.4%

▶️News & Data
- 3월 31일 거래대금 18.0조원 (vs. 2021년 평균 27.3조원, 1Q21 평균 33.3조원, 4Q21 평균 22.7조원, 1Q22 평균 19.8조원)
- 3월 30일 신용공여 잔고 42.3조원 (vs. 2021년 평균 42.0조원, 1Q21 평균 39.3조원, 4Q21 평균 42.9조원, 1Q22 평균 41.6조원)

▶️코멘트
새 정부의 코로나 피해 금융지원안에 '배드뱅크' 급부상

- 인수위에서 배드뱅크 설립을 통해 만기상환/이자유예 여신에 대한 채무 재조정을 검토하고 있다는 내용

- 배드뱅크를 활용하는 방식이 결정된다면 1) 은행들은 만기상환/이자유예 여신을 배드뱅크에 매각하고 2) 배드뱅크가 향후 부실채권 정리와 채무 재조정을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

- 이는 은행에도 호재로, 1) 관련 여신에 대한 추가 충당금 적립 우려에서 해소되고 2) 더 나아가 2년에 걸쳐 적립한 선제적 충당금도 환입될 수 있기 때문





유안타 리서치센터 기업분석팀 채널

유안타 리서치센터 투자전략팀 채널

유안타 티레이더 인포 채널
www.myasset.com/tradarinfo

유안타 리서치센터 카카오톡 채널

4 Comments
G ariari19 … 2022.04.01 08:59  
오늘도 감사합니다^^
G 더나은세상을위해 … 2022.04.01 13:03  

감사합니다~^^

G 경인사랑 … 2022.04.01 10:07  
매일 감사합니다.^^
G 더나은세상을위해 … 2022.04.01 13:03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