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에디슨 사태 재현? 6퍼센트 변제율에 인수 무산 우려
[데일리안 = 박영국 기자] 쌍용자동차가 KG그룹으로의 인수를 통한 기업회생을 눈앞에 두고 또 다시 암초를 만났다. 회생채권비율이 상거래 채권단의 요구에 비해 턱없이 낮아 회생계획안 통과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앞서 에디슨모터스와 본계약까지 체결했다가 인수가 무산된 사태가 재현될 가능성까지 점쳐진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쌍용차는 상거래 채권단에 회생채권 현금 변제율을 6% 수준으로 통보했다.
쌍용차 측은 “현재 회생계획안을 작성 중으로, 정확한 변제율은 작성이 마무리되는 이달 말이나 확정될 것”이라고 밝혔지만, KG그룹 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자금 규모와 성격을 보면 현금 변제율이 6%에서 크게 높아지긴 힘들 것으로 보인다.
KG그룹의 쌍용차 인수 총액은 9000억원이지만, 그 중 실질 인수대금은 3355억원에 불과하다. 나머지 5645억원은 추가 발행된 신주 인수 방식으로 쌍용차에 운영자금으로 지원된다.
즉, 변제 재원은 인수와 함께 지급되는 3355억원이다. 그 중에서도 3000억원 이상은 관계 법령 및 청산가치 보장 등에 근거해 회생담보권과 조세채권을 100% 변제하는 데 사용해야 한다. 남는 돈은 300억원 가량이다.
상거래 채권단의 회생채권은 약 5470억원 규모다. 변제 제원 잔액 300억원 가량을 모두 투입한다고 해도 변제율은 6%에 못 미친다.
지난 2월 에디슨모터스와의 투자계약 내용을 반영한 회생계획안과 큰 차이가 없다. 당시 계약상 에디슨모터스의 인수대금은 3049억원이었고, 전액을 변제 재원으로 투입한다는 계획이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쌍용차는 상거래 채권단에 회생채권 현금 변제율을 6% 수준으로 통보했다.
쌍용차 측은 “현재 회생계획안을 작성 중으로, 정확한 변제율은 작성이 마무리되는 이달 말이나 확정될 것”이라고 밝혔지만, KG그룹 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자금 규모와 성격을 보면 현금 변제율이 6%에서 크게 높아지긴 힘들 것으로 보인다.
KG그룹의 쌍용차 인수 총액은 9000억원이지만, 그 중 실질 인수대금은 3355억원에 불과하다. 나머지 5645억원은 추가 발행된 신주 인수 방식으로 쌍용차에 운영자금으로 지원된다.
즉, 변제 재원은 인수와 함께 지급되는 3355억원이다. 그 중에서도 3000억원 이상은 관계 법령 및 청산가치 보장 등에 근거해 회생담보권과 조세채권을 100% 변제하는 데 사용해야 한다. 남는 돈은 300억원 가량이다.
상거래 채권단의 회생채권은 약 5470억원 규모다. 변제 제원 잔액 300억원 가량을 모두 투입한다고 해도 변제율은 6%에 못 미친다.
지난 2월 에디슨모터스와의 투자계약 내용을 반영한 회생계획안과 큰 차이가 없다. 당시 계약상 에디슨모터스의 인수대금은 3049억원이었고, 전액을 변제 재원으로 투입한다는 계획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