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장전 주요이슈점검
미국 시장 정리
1. 뉴욕증시
- 3대 지수 하락.
- 각국 중앙은행의 긴축과 코로나 확산.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 영향.
- 11개 업종 모두 하락. 금융섹터 (-2.27%)
- 6대 대형은행인 웰스파고(-4.67%), 골드만삭스(-3.92%), 모건스탠리(-3.16%), 씨티그룹(-2.51%), 뱅크오브아메리카(-2.49%), JP모건(-2.28%)
- 알파벳(-1.88%), 애플(-0.65%), 마이크로소프트(-0.34%), 메타(-0.33%), 아마존 (+0.68%), 테슬라 (+0.46%)
2. 외환
- 전반적 리스크오프에 대한 안전자산 선호로 달러 인덱스 강세.
3. 국채금리
- 월러 이사 발언 후 단기물 상승 했지만 강보합권 마감.
4. 국제유가
- 오미크론 확산 영향으로 하락 마감.
- 미) 원유 시추공 수 471개 -> 475개. 2주 연속 증가.
5. 중앙은행 및 정책, 오미크론
가) 크리스토퍼 월러
- 자신의 인플레 및 노동시장 환경 예상에 따르면 연준 금리 인상은 내년 초 QE 종료 후 즉시 가능할 것. 3월 FOMC에 금리인상 열려 있다.
물론 첫 금리인상에 적절한 시기는 경제활동의 전개에 좌우될 것.
- 금리인상 뒤 1~2번째 회의 안에 대차대조표 축소 시작할 수 있다. 초여름까지 대차대조표 축소를 시작하는 방안을 선호.
- 오미크폰은 큰 불확실성. 노동력 및 상품의 공급부족을 악화시키고 인플레 압력을 가중 시킬 수 있음.
나) 윌리엄스 총재
- 테이퍼링 가속도 결정은 통화정책 기조를 좋은 위치에 올려두기 위한 것. 내년 어느 시점에 금리를 인상할 수 있는 선택지를 열어 두는 것.
- 실질금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미) 10년물 금리는 경제전망에 대한 투자자의 시각을 반영한다. 금융시장은 글로벌 금리가 앞으로 수년 동안 낮을 것으로 판단한다. (금리에 관한 연구로 명성이 높음)
다) 벨기에 중앙은행 총재
- ECB는 인플레 위협을 과소평가하는 위험을 안고 있으며 물가 대응과 관련해 여타 중앙은행에 뒤처지고 있다.
- 우리는 낮은 인플레이션을 봐왔으며, 목표치로 수렴하리라 예상했다. 그러나 현재는 상황이 매우 다르고 인플레는 분명히 목표치 위에 있다. 향후 4년간의 평균 인플레이션은 분명히 2%를 웃돌 것이다.
라) 분데스방크
- 22년~24년 인플레 전망치 대폭 상향. 2.6% -> 3.2%
마) 러시아 중앙은행
- 기준금리 7.5% -> 8.5%
- 추가 인상 여지를 열어둠.
바) 임페리얼칼리지런던
- 과거 코로나 감염 회복자는 오미크론에 대해 19% 항체 보유.
- 2회 접종시 20%, 3회 접종시 55%~80%
6. 경제지표
가) 독일
- 생산자물가지수 (MoM) 3.8% -> 0.8%
- 독일 Ifo 기업체감지수 96.6 -> 94.7
* 물가, 코로나 확산세 영향.
나) EUR
- 소비자물가지수 (MoM) 0.8% -> 0.4%
[자료 출처]
-> 위 내용은 2021년12월20일 08시46분45초에 추가되었습니다.
-> 위 내용은 2021년12월20일 08시40분30초에 추가되었습니다.
★ 오늘의 이슈&섹터 스케줄 (12/20) ★
· 美) 마이크론테크놀로지 실적발표(현지시간)
· 文 대통령, 정부 부처별 업무보고
· 한국거래소, KRX CSI 한·중 공동지수 발표 예정
· 노바백스 백신 긴급사용 승인 EMA 회의 예정(현지시간)
· 증권사, 탄소배출권 거래 예정
· 넥슨 던파모바일, 게릴라 테스트 예정
· ESG 포털 서비스 시작 예정
· 하이스팩7호 신규상장 예정
· 교보스팩11호 신규상장 예정
· GV 상장폐지
· HDC아이콘트롤스 상호변경(HDC랩스)
· 래몽래인 공모청약
· HDC랩스 신주상장(흡수합병)
· 자이언트스텝 권리락(무상증자)
· 제노코 추가상장(무상증자)
· NHN한국사이버결제 추가상장(무상증자)
· 디케이앤디 추가상장(무상증자)
· 메타랩스 추가상장(유상증자/CB전환)
· 센트럴인사이트 추가상장(유상증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