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북한, 괌 사정권 화성-12형 실전배치 확인
[속보]북한 “30일 화성-12형 시험발사 성공”…실전배치 확인
[속보]북한 “30일 화성-12형 시험발사 성공”…실전배치 확인
[경향신문] 북한이 전날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인 화성-12형 검수사격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31일 밝혔다. 북한은 이날 보도를 통해 화성-12형의 실전배치를 확인했다. 통신은 이날 “국방과학원과 제2경제위원회
https://n.news.naver.com/article/03...
통신은 “검수 사격 시험은 생산장비되고 있는 지상대지상중장거리탄도미사일 화성-12형을 선택검열하고 전반적인 이 무기체계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한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고 했다. 또 “국방과학원은 생산되는 화성-12형 무기체계의 정확성과 안전성, 운용 효과성을 확인하였다”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는 전날 북한이 자강도 무평리 일대에서 동쪽 동해상으로 중거리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합참은 북한이 고각(높은각도)으로 발사한 미사일의 비행거리는 약 800㎞, 정점 고도는 약 2000㎞로 탐지됐다. 30∼45도의 정상각도로 쏠 경우 최대 사거리가 4500∼5000㎞로 추정된다.
통신은 “국방과학원은 주변국가들의 안전을 고려하여 우리 나라 서북부지구에서 조선동해상으로 최대고각발사체제로 사격시험을 진행하였다”고 확인했다.
북한은 이날 이동식 발사차량(TEL)에서 화성-12형이 발사되는 모습과 함께 미사일 탄두부에 설치된 카메라가 촬영한 지구 사진을 공개했다. 다만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했다는 언급은 없었다.
북한이 중거리급 이상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2017년 11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인 화성-15형을 발사한 이후 4년 2개월만이다. 북한은 올해 들어 7차례 무력시위를 하면서 ‘단거리 미사일’에서 ‘중거리 미사일’로 시험발사 미사일의 사거리를 점차 늘려오고 있다. 지난 20일 핵실험·ICBM 발사 유예(모라토리엄) 조치 철회를 검토한다고 밝힌 바 있어 향후 도발 강도를 더 높일 것이라는 우려가 커진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북한이 2017년에도 화성-12형 발사 성공 이후 화성-14형, 화성-15형 발사로 빠르게 사거리 확장 실험을 했다”면서 “화성-12형 발사 카드를 통해 ICBM 발사 가능성 및 모라토리엄 파기 임박을 알리는 압박 성격”이라고 분석했다. 홍 실장은 “북한의 ICBM은 화성-12형의 백두엔진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향후 ICBM 역시 ‘검수’ 형식으로 발사 가능성이 있다”고 관측했다.
-> 위 내용은 2022년01월31일 07시43분52초에 추가되었습니다.
[속보] 美고위관리 "美, 北 핵·ICBM 시험 재개 가능성 우려"
https://n.news.naver.com/article/02...
-> 위 내용은 2022년01월31일 07시37분40초에 추가되었습니다.
[속보] 북한, ‘괌 사정권’ 화성-12형 실전배치 확인북한이 30일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인 화성-12형 검수사격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31일 밝혔다. 합동참모본부는 전날 북한이 자강도 무평리 일대에서 동쪽 동해상으로 중거리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
https://n.news.naver.com/article/08...
북한이 30일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인 화성-12형 검수사격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31일 밝혔다. 합동참모본부는 전날 북한이 자강도 무평리 일대에서 동쪽 동해상으로 중거리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고 밝힌 바 있다.
검수사격은 생산 배치되는 미사일을 무작위로 골라 품질을 검증하는 시험발사를 뜻한다. 화성-12형이 실전 배치돼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합참에 따르면 북한이 고각(높은각도)으로 발사한 미사일의 비행거리는 약 800㎞, 정점 고도는 약 2000㎞로 탐지됐다. 30∼45도의 정상각도로 쏠 경우 최대 사거리가 4500∼5000㎞로 추정된다. 평양에서 미국령 괌까지의 거리가 3400여㎞인 것을 고려하면 미국 영토를 직접 공격할 수 있는 무기를 실전 배치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