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의 3연임?! 공산당 전국대표회의로 내다보는 중국의 미래 | 중국, 시진핑, 공산당
틈틈히 챙겨보는 김지윤 박사의 유튜브 영상입니다. 큰 국제적 이슈가 있을때마다 관련 이슈의 뒷배경이나 국내 뉴스에서 다루지 않는(?) 부분을 자세하게 설명해 주기 때문에 국제 정치역학과 해외 각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제 등을 짧은 시간내에 심도있게 엿볼수 있어서 좋은 것 같아 공유해 봅니다
틈틈히 챙겨보는 김지윤 박사의 유튜브 영상입니다. 큰 국제적 이슈가 있을때마다 관련 이슈의 뒷배경이나 국내 뉴스에서 다루지 않는(?) 부분을 자세하게 설명해 주기 때문에 국제 정치역학과 해외 각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제 등을 짧은 시간내에 심도있게 엿볼수 있어서 좋은 것 같아 공유해 봅니다
달사마 안녕하세요!
시진핑이 권력욕때문에 결국은 독재로 갔죠
저인간 공동부유라고 자본주의를 부정하는 사회주의 국가로의 회귀를 생각하고 있더군요
독재로 가더니만 이제 모든 이권은 다 즈그들껄로 하고 싶은가 봅니다 큰 욕심이죠
여담으로
중국경제의 진짜 뇌관은 부동산인데 , 이거 터지면 나락으로 가는거죠 . 근데 경제규모가 너무 비대해져서 주변국에 정말로 많은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해봅니다
저는 언젠가 금융위기가 터진다 하면 그건 중국발로 봅니다
제가 바라보는 현재의 중국은 공산주의를 지배수단으로 하는 1인 독재 자본주의 국가로 보고 있습니다 사회주의 경향은 오히려 베트남쪽이 더 강하다고 보고 있구요 하지만 베트남도 향후 10년내에 중국과 같은 시기가 도래할 거라고 봅니다 다만 차이는 현재 중국이 인구대비 빠른 고령화와 극단으로 치닫고 있는 양극화, 대도시 집중으로 인한 지방도시의 붕괴, 교육불균형 등의 사회 문제 그리고 1인 독재로 인한 폐쇄적인 정치환경의 중국 보다는 베트남은 국민 평균연령이 30세가 안되고 지속적으로 인구증가가 이루어 지고 있어서 향후 중국을 대신할 노동력을 기반으로 하는 생산집약적 산업이 중국을 앞설 것이고 사회주의 국가 치고는 다소 개방적이고 유연한 외교 정책덕에 우리 한국기업들 뿐만 아니라 많은 국가들이 베트남에 직접 투자를 늘리고 있다는 점이 차이점이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