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한 집은 뚝, 주식은 -34%, 연봉 날아갔다 직장인 절규

영끌한 집은 뚝, 주식은 -34%, 연봉 날아갔다 직장인 절규

G 10 18444 0 0

'금리 오르고 주가 살얼음판'... 영끌족·개미는 "울고 싶어라"

 

https://n.news.naver.com/mnews/arti... 

 

 미국발 긴축 공포, 국내로 연쇄 파급 우려 

올해 0.4%p나 오른 주담대, 6% 넘어설 듯
'1월 악몽' 경험한 코스피, 2차 하락 우려도

 

 


-> 위 내용은 2022년02월13일 23시47분23초에 추가되었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 

 

 직장인 최모(37)씨는 요즘 재테크의 '재'자만 들어도 화가 치솟는다. 저조한 투자 성적 때문이다. 지난해 수차례에 걸쳐 현대차·삼성SDI 같은 국내 대형주에 5000만원가량 투자했다. 하지만 최근 주가 급락에 평균 수익률이 -34%로 곤두박질쳤다. 지난해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로 겨우 장만한 아파트 가격도 불안하다. 7억4000만원대에 산 경기도 화성 동탄2신도시 전용면적 59㎡(24평) 아파트값이 7억원으로 떨어졌다. 최씨는 "한두 달 새 1년 연봉을 까먹었다"며 "주식도, 부동산도 상투를 잡은 것 같아 답답하다"고 말했다.  


주식으로 1억원을 굴리는 직장인 김모(37)씨의 성적도 참담하다. 지난해 바이오주 중심의 투자로 한때 150%를 넘어선 수익률은 최근 -30%로 수직 낙하했다. 김씨는 "갑작스러운 하락에 손쓸 틈 없이 손실이 커졌다"며 "추가 자금 투입도 어려워 오를 때까지 버틸 수밖에 없다"고 했다.  

속이 쓰린 건 공공기관에 다니는 이모(40)씨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10월 주식 투자로 입은 손실을 메우기 위해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3종에 2800만원을 투자했다. 이 중 1500만원은 마이너스통장 대출로 마련했다. 하지만 지금 수익률은 -40%대를 맴돈다. 이씨는 "오르는가 싶으면 떨어지고, 떨어질 땐 폭락을 반복해 계좌가 쑥대밭이 됐다"고 말했다. 

 

'재테크 빙하기'가 닥쳤다. 자산시장에서 투자 원금을 지키지 못한 패잔병들이 우후죽순처럼 늘고 있다. 잘 나가던 주식시장은 지난 1년간의 성과를 반납했고, 암호화폐·부동산 시장도 하락기로 접어들었다. 주요국의 '긴축 공포'와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지정학적 긴장이 맞물린 탓이다.  

지난 2020~21년 자산시장은 무서운 속도로 부풀어 올랐다. 유례없는 초저금리와 넘치는 유동성이 낳은 결과물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전 세계 경제가 휘청이자 미국 등 주요국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0% 가깝게 낮췄고, 양적완화(QE)까지 동원해 돈을 찍어냈다.  

그러나 최근 분위기가 달라졌다. 급격한 물가 상승세를 잡기 위해 주요국 중앙은행이 긴축으로 돌아서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올해 최대 7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지난해 8월부터 지난달까지 기준금리를 세 차례(0.5%→1.25%) 올린 한국은행도 추가 인상이 유력하다. 시중에 넘쳐난 돈이 이제 말라간다는 뜻이다. 

 

자산시장의 대표 격인 증시는 직격탄을 맞았다. 코스피는 지난 11일 2747.71에 장을 마쳤다. 올해 들어 7.7% 하락했다. 지난해 상승분을 다 까먹은 셈이다. 지난해 고점(3305.21)에 비하면 16.9% 낮다. 코스닥 지수의 올해 하락률은 15.1%에 달했다.  

개인들의 투자 성적도 저조할 수밖에 없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개인 순매수 상위 10개 종목 중 9개가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개인 순매수 1위인 카카오(-5.9%)를 비롯해 네이버(-4.1%), 삼성SDI(-6.1%), 크래프톤(-24.1%), 카카오뱅크(-13.2%) 등이다. 수익률은 종목별 평균 순매수 가격과 지난 11일 종가를 비교해 산출했다. 그나마 삼성전자(0.7%)가 체면치레했다

 

 

10 Comments
G 오가네2 … 2022.02.13 21:49  
따면 내가 잘나서 그런거고

잃으면 국가가 잘못한거라는 사람이 많아서...

주식이 좋을때도 있고 안좋을때도 있는거죠

자기 자신을 탓해야하는거고

여유자금으로 해야하는걸 영혼까지 끌어다썼으니 조금만 힘들어도 버티기 힘들어지는거죠

G 내마음에봄 … 2022.02.13 21:53  
작년초까지는 모두들 람보르기니 예약하러 갈 기세였습니다. ㅎㅎㅎ
G 아이스붐 … 2022.04.12 10:34  
.
G [* 비회원 *] … 2022.02.14 09:37  

이렇게 경제문맹이 많네요 

언제부터 집을 내돈으로 샀나요 

주담대라는건 폼으로 있는것도 아니고 

G [* 비회원 *] … 2022.02.14 09:55  

@아이스붐 

lazyloading.jpg

 

 

G 쓴초코 … 2022.02.14 11:55  

부동산도 주식도 다 똑같음.

본인의 선택을 정부탓으로해야 멘탈이 살아남을것같아서 정권교체.

 

교체되면 등신에 욕심쟁이 돼서 인생 망쳤다고 또 불평.

G 내마음에봄 … 2022.02.13 21:50  

날아가서 증발한게 아닙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큰손형님들이 개미들한테 물량떠넘겨 차익실현하고 소고기 사먹으러 간거 ㅎㅎㅎ;

G 끔찍이7호 … 2022.02.13 22:02  
투자의 책임은 스스로..
G 7xrtj4 … 2022.02.13 22:32  
븅신
G =BlackCat= … 2022.02.13 23:13  
동탄 7억4천 ㅋㅋ 대출 열려있을때 영끌한 영끌족인가본데 당분간 스트레스 오질듯 이자만 얼마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