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싸구려'라고 무시했는데 중국에 허 찔린 한국 배터리
[기사일부발췌]
블룸버그통신은 15일(현지시간) 한국 배터리 회사들이 그동안 싸구려라는 이유로 외면해온 철 기반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LFP 배터리는 한국 배터리 기업들의 주력 제품인 니켈 배터리(NCM)에 비해 저렴하고 안전한 게 장점이다. 하지만 저온에서 성능이 떨어져 겨울철 전기차 주행 거리가 줄어든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 때문에 한국 배터리 기업들은 단가가 비싸도 성능이 뛰어난 NCM 배터리에 주력해왔다. NCM 배터리는 니켈과 코발트 마그네슘의 앞 글자를 딴 것으로 세가지 성분을 양극재로 쓰는 리튬 이온 배터리다.
블룸버그는 중국 업체들의 기술 개발로 인해 판도가 바뀌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LFP 배터리 성능이 개선되면서 NCM만 고집해온 한국 배터리 회사들의 인식이 바뀌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데 주력해온 SK온이 LFP 배터리 개발에 발빠르게 뛰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SK온은 지난 3월 서울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컨퍼런스에서 국내 기업 최초로 LFP 배터리 시제품을 선보였다. 당시 SK온은 이 제품이 저온에서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다고 홍보했다.
황재연 SK온 기술경쟁력 담당 상무는 블룸버그에 "니켈 배터리 전극과 소재를 만드는 기술을 LFP 배터리에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이어 "SK온은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도 최근 실적 발표에서 전기차용 LFP 셀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LG는 미국 애리조나에 에너지 저장시스템용 LFP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삼성은 2026년까지 LFP 배터리를 개발하려는 한국 정부 주도의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포드 등에 양극재를 공급하는 에코프로비엠은 내년 말까지 LFP 파일럿 라인을 구축할 계획을 발표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