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민간, 자동차 부품산업에 14.3조 지원, 미래차 전환 박차
(세종=뉴스1) 임용우 기자 = 정부와 민간이 자동차 부품산업 육성에 14조3000억원을 투입한다. 미래 모빌리티 시대에 발 맞춰 소프트웨어, 전장 등을 육성하고, 미래차 핵심 기술 관련 전문인력 양성과 자동차부품 수출 확대, 글로벌 공급망 진입에 박차를 가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자동차부품 산업전략 원탁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미래차 전환 및 수출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부품업계 지원대책으로 △14조3000억원 상당의 자금 지원·일감 확보 △미래차 체질 강화를 위한 핵심기술 확보 및 전문인력 양성 △미래차 부품 특별법 제정 △자동차부품 수출확대 등을 제시했다.
산업부는 자금 지원과 일감 확보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국내 전기차 생산 규모를 5배 확대하고,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2대 주력 시장과 중동, 중국·일본, 아세안 등 3대 유망시장에 대한 자동차부품 수출을 확대할 계획이다.
지원을 통해 산업부는 올해 자동차 산업 수출액이 사상 최대 규모인 800억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시스템 반도체, 대형 디스플레이, 탄소 복합재, 바이오헬스, 소프트웨어 등 타 첨단 산업의 혁신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산업부는 보고 있다.
자동차 산업은 1~4월 수출액이 232억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다. 흑자 규모도 177억달러로 수출 품목 중 1위로 나타났다.
산업부는 부품기업 지원을 위해 '완성차 제조사 상생선언 및 8개 유관기관 합동 업무협약(MOU)'도 맺었다.
이날 협약에는 현대자동차(005380), 기아(000270), 한국지엠, 로노코리아자동차, KG모빌리티 등 5개 완성차 제조사가 참여했다. 이들은 부품 협력사의 유동성 확보 지원, 공동 기술개발 등 부품업계와의 상생협력 강화에 힘쓰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