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디폴트 고비 넘기나, 한발씩 물러선 잠정 합의안 도출(종합)

미국 디폴트 고비 넘기나, 한발씩 물러선 잠정 합의안 도출(종합)

G 10 9125 0 0
2년간 정부 지출 제한하는 조건으로 부채한도 상향
백악관·공화당, 디폴트 막기 위해 원칙적 합의
31일 하원서 표결…당내 강경파 반발이 막판 변수
[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미국 연방정부의 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가 해소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백악관과 미 하원을 장악하고 있는 공화당이 27일(현지시간) 정부 부채 한도 상향을 위한 잠정 합의안을 도출하면서다. 예산삭감 대신 ‘2년간 동결 및 제한’…양측 한발씩 양보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공화당 소속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은 이날 2025년 1월까지 연방정부의 부채 한도 적용을 유예하는 대신 2024~2025년 정부 예산의 지출을 제한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안에 합의했다.

구체적으로 2024년 회계연도에는 비(非) 국방 재량 지출을 올해 수준으로 동결하고, 2025년에는 1% 증액하기로 했다고 로이터는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잠정 합의안에는 △미사용 코로나19 관련 예산 환수 △일부 에너지 프로젝트에 대한 허가 절차 신속화 △저소득층 식량 지원 프로그램 수혜자에 대한 근로 요건 추가 등도 포함됐다.

바이든 대통령과 매카시 의장은 지난 9일부터 본격적으로 부채 한도 협상을 시작해 수차례 회동했지만, 입장 차를 쉽게 좁히지 못했다. 백악관은 의회에서 조건 없이 부채 한도를 상향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고, 공화당은 정부 지출 삭감을 조건으로 협상에 임했기 때문이다.

이에 바이든 대통령과 매카시 의장은 이날 오후 6시부터 1시간 반가량 전화 통화를 하며 막판 조율을 했으며, 백악관과 하원 협상단은 미 정부의 디폴트 사태를 피하기 위한 원칙적인 합의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예산 삭감 대신 2년간 정부 지출을 제한하고 부채 한도 적용을 유예하는 잠정안은 양측이 모두 한 발자국씩 양보한 결과다.

바이든 대통령은 성명을 통해 이번 합의는 “(양측의) 타협을 반영하며 모든 사람이 원하는 것을 (전부) 얻을 수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일하는 사람들과 모두를 위해 경제를 성장시키기 위한 핵심 프로그램을 보호하는 동시에 지출을 줄이는 중요한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

 

 

10 Comments
G 좀고마해라 … 2023.05.28 15:36  

합의는 기정사실이라서

별관심없음

G 오잉아잉~ … 2023.05.28 15:41  

맞죠 ㅋㅋ 어처피 쇼;;

G 용사주제에건방지다 … 2023.05.28 15:39  

공포에 선반영입니다요~

하지만 이건 국장에만 해당되고..

미장은 이말올 ~ ㄱㅅ

G 오잉아잉~ … 2023.05.28 15:45  

금욜날 미장이 떡상한 이유였죠

G 뉴기니아 … 2023.05.28 16:08  

빅테크,반도체만 이번주 급등했는데 다음주에는 미장 전체가 쭉 오를 듯 싶네요.코로나 폭락 이후 급반등했던 차트를 또 볼 수도 있겠다싶습니다.

G 신데마스 … 2024.07.22 23:59  
ppomppu
G 묘묘바라기 … 2023.05.28 19:43  
지난주 삼프로 방송에 어떤 사람 나와서 하는 얘기 들어보니까 부채협상 해도 좋은건 아니라고 하던데요

유동성 줄이는거라 발행되는 채권 누가 가져가냐에 따라 위험할수도 있다고 하던데...

G 건강한치아 … 2023.09.18 15:40  
.
G 묘묘바라기 … 2023.05.28 22:27  
양적완화가 되는게 어떻게 되는거에요???

부채협상 타결 되면 정부에서 채권 발행하는거 아님?? 채권발행이 양적완화가 된다는게 이해가 안되는데요

 

G 아드리아~@ … 2023.05.30 01:16  

협상 내용은 이렇다고 하더라고요.

둘 다 조금씩 양보했다는 평가였던 걸로 기억함.

0. 부채한도액 약 2년간 쓸 예산안 올림. 다음 협상은 대통령 선거 이후로. 

1. 2024년도 비국방 지출 예산 동결 (인플레이션 감안하면 예산 삭감 효과)

2. 2025년도 비국방 지출 예산 1%만 인상 (인플레이션 감안하면 예산 삭감 효과)

3. 원래 공화당이 원하던 내용은 2022년도 회계수준으로 지출 증가율 10년동안 매년 1%씩

4. IRS 탈세 단속 지원금 800억 달러중 매년 20억 달러씩 10년동안 삭감

5. 사용하지 않은 코비드 지원금 회수

6. 퇴역군인을 위한 의료 서비스 개선

7. 저소득층 임시 지원프로그램 일을 안해도 되는 연령 50세에서 54세로 증가.  (메디케이드 제외)

8. 신재생 에너지 수용하기 위한 국가 전력망 업그레이드

9. 화석연료 프로젝트 허가 가속화 허용.

묘묘바라기님이 들으신 내용이 제가 들은 것과 같은 건진 모르겠는데 미국이 채권을 발행하면 그 채권을 삼으로써 정부 쪽으로 돈이 이동하니까 일시적으로 시장 유동성이 줄어드는 효과가 나온다고 했던 것 같아요. 그래서 일단 최소한 단기적으로는 주가가 조정받을 수도 있다고 했던 것 같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