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경제 반전 청신호에, 물가 안정 경기 대응' 전환
정부의 하반기 경제정책 무게 중심이 ‘물가 안정’에서 ‘경기 대응’으로 옮겨가고 있다. 물가상승률이 곧 2%대에 진입하고, 한국 경기가 바닥을 찍었다는 신호가 곳곳에서 감지되면서다. 한국 경제의 턴어라운드(turnaround) 시점에 맞춰 경제정책에도 변화를 가져가겠다는 취지로 읽힌다.
기획재정부는 올 초와는 달라진 경제 여건을 토대로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마련 중이다. 다음달 초 경제정책방향 발표까지 시일이 남은 만큼 세부 내용을 조정하고 있으나, 경기를 뒷받침하는 정책 의지를 담겠다는 방향성은 잡혔다. 한 기재부 국장급 인사는 “전반적으로 저점을 통과한 것 같다”며 “물들어올 때 노를 저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다른 국장급 인사도 “아직 변수는 남아 있지만, 터널의 끝이 보이는 것 같다”고 전했다.
방기선 기획재정부 1차관이 16일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는 확고한 민생안정과 함께 하반기 경기 반등, 경제체질의 구조적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등을 담을 계획”이라고 언급한 것도 이런 달라진 분위기를 반영한다.
하지만 문제는 경기 대응 수단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통상 경기 부양 수단은 통화ㆍ금융 또는 재정 정책이다. 금리인하는 한국은행의 영역인 데다, 환율 등의 변수가 워낙 크다 보니 확장적 금융정책을 펼치기가 부담스럽다. 재정 역시 ‘세수 펑크’를 우려할 정도로 빠듯하다. ‘건전재정’ 내건 윤석열 정부는 야권에서 주장하는 ‘추경 편성론’을 일축하고 지출구조조정, 가용재원 총동원 등으로 재정건전성을 지키겠다는 입장이 확고하다.
6월 경제 반전 청신호에, ‘물가 안정’→‘경기 대응' 전환 정부의 하반기 경제정책 무게 중심이 ‘물가 안정’에서 ‘경기 대응’으로 옮겨가고 있다. 물가상승률이 곧 2%대에 진입하고, 한국 경기가 바닥을 찍었다는 신호가 곳곳에서 감지되면서다. 한국 경제의 턴어라운드(turna
https://n.news.naver.com/article/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