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밉상으로 전락한 카카오, 봄날은 간다[양철민의 아알못]

'국민밉상으로 전락한 카카오, 봄날은 간다[양철민의 아알못]

G 1 2340 0 0

카카오엔터 등 대부분 자회사 당기순손실
지주사 '자금수혈'로 버티기모드 돌입
혁신기업에서 먹튀기업으로 이미지 급락
'쪼개기상장' 자제하고 쇄신카드 내놔야

 자회사 대부분 당기순손실…'희망퇴직' 카드 꺼내



15일 카카오의 공시내용을 살펴보면 대부분 그룹사가 연간기준 당기순손실을 기록중이다. 카카오가 지분 41.4%를 보유한 카카오게임즈는 지난해 693억원의 손실을 기록했으며 카카오벤처스(-203억원), 카카오엔터테인먼트(-4380억원), 카카오브레인(-318억원), 카카오모빌리티(-687억원), 카카오엔터프라이즈(-1612억원), 카카오페이손해보험(-261억원), 카카오헬스케어(-70억원), 카카오스타일(-501억원), 그립컴퍼니(-268억원) 등도 막대한 손실을 기록했다. 

‘쪼개기 상장’ 신공을 더 이상 쓰기 힘든 카카오는 그룹사에 자금을 수혈해주며 ‘버티기 모드’에 들어갔다. 카카오는 이달 13일 카카오브레인의 주주배정방식 유상증자에 참여해 이달 400억원, 10월 300억원 등 총 700억원을 납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카카오는 또 희망퇴직을 진행 중인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 1000억원을 출자하는 한편, 자회사 서울아레나에 주주배정 유상증자 참여 형태로 560억원의 사업자금을 투입하기로 했다.

 

 

쪼개기 상장’ 기반 ‘성장 로드맵’…이제는 안통한다?



카카오는 최근 몇년간 유망사업 법인을 상장해 외부자금을 끌어들이는 방식으로 몸집을 키워왔다. 최근 몇년새 상장에 성공한 카카오게임즈(2020년 9월), 카카오뱅크(2021년 8월), 카카오페이(2021년 11월) 등이 대표적이다. 

카카오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카카오엔터테인먼트·카카오모빌리티·라이온하트 등도 추가로 상장해 추가로 몸집을 키운다는 계획이었지만, 당분간 이들 기업의 상장이 힘든 상황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 

 

 

1 Comments
G 스펀지밤 … 2023.07.16 13:58  
모바일에서 VR 의 메타버스로 넘어가기라도 하면 장기적으로 완전 쪼그라 들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