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나가던 K배터리 미국 노조 리스크에 '휘청'
韓 배터리 업체들, 수익성에 악영향 미칠까 '전전긍긍'
인건비 추가 부담만 매년 수천억원대 전망
업계는 이들 공장에 대한 노조의 임금 인상 요구가 이어지면 국내 배터리 3사의 수익성이 악화할 수도 있다고 우려한다. UAW가 국내 배터리 기업이 받는 보조금을 빌미로 강도 높은 임금 인상 요구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한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배터리 업체가 해외 공장 건설 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항목이 인건비다"면서 "미국의 경우 IRA 보조금 지급 이점이 있어 높은 인건비를 상당 부분 상쇄하는 효과가 있었지만, 앞으로는 불투명하다"고 전했다. 앞서 임금 협상을 마친 얼티엄셀즈 1공장(연산 35GWh)의 경우 직원이 약 1400명으로 알려졌는데, 임금 인상에 따라 100억원 이상의 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규모 증설을 하고 있는 배터리 3사의 투자 규모를 고려하면 인건비 부담은 매년 수천억원이 추가로 늘게 된다.
노조의 입김이 거세지면서 미국에 배터리 공장을 둔 국내 기업은 수율 문제 해결 등 생산 안정화에도 큰 부담을 느낄 전망이다. 배터리 업계는 빠른 수율 안정화가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이 큰 산업이다. 또 다른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신규 공장을 가동하면 최대한 빠르게 수율을 개선해야 하는 게 배터리 업계의 공통 과제다"면서 "향후 임금 상승을 이유로 노사 대립이 발생한다면 전기차 생산 시점에 맞춰 생산 안정화를 이루려는 계획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그나마 국내 배터리 3사가 미국 완성차 업체와 합작회사 형태로 미국에 다수 진출한 점은 안전망으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 합작공장의 실적이 곧 지분의 50%를 갖고 있는 완성차 업체의 실적으로 연결돼 일정 부분 수익성을 지켜줄 것이란 분석이다.
배터리 3사와 함께 우리 정부의 외교 능력도 시험대에 올랐다. 다만 미국 대선을 앞두고 노조원 40만 명을 앞세운 UAW의 정치적 영향력을 넘어설 협상 카드를 마련하기는 힘들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업과 노조의 협상 과정에서 관련 협회가 할 수 있는 역할이 마땅치 않기도 하다. 한국배터리산업협회 관계자는 "협회 차원에서 도움을 줄 부분은 없다"고 말했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노조가 임금 인상 압박을 하고 미국 정부가 뒤에서 동조하는 악순환을 맞닥뜨린 상황"이라며 "고민거리는 많고 해결 과제 역시 적지 않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추가 인센티브 제도 마련은 또 다른 수익성 확보 방안이 될 수 있다. 박철완 서정대 교수는 "IRA의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외 배터리 산업의 한미 산업협력을 고도화하기 위한 또 다른 형태의 인센티브에 대해 미국과 협의할 때가 됐다"면서 "아직 미국 쪽에서 추가 인센티브에 대한 검토를 한 바는 없는 것으로 안다. 정부의 다각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할 때"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