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중국 포기 못해, 타사 전기차 첫 생산

현대차 중국 포기 못해, 타사 전기차 첫 생산

G 3 2684 0 0

현대차는 현지에서 생산하는 첫 전기차 모델로 중국 합작파트너사인 베이징자동차그룹의 아크폭스를 선택했다. 현대차가 설계·생산·품질관리를 모두 책임지는 ‘내부생산(made in plant·MIP)’ 방식이 유력하다. 현대차의 우수한 자동차 생산능력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베이징자동차도 ‘남는 장사’라는 평가다. 현대차는 베이징 3공장을 아크폭스 생산기지로 삼을 전망이다. 아크폭스 생산이 현실화하면 현대차가 타사 자동차 브랜드를 생산하는 최초의 사례가 될 전망이다.

당초 현대차는 아이오닉 등 자사 전기차 모델 중 하나를 중국에서 생산해 현지 전기차 시장을 공략할 방침이었다. 하지만 장재훈 현대차 사장이 최근 베이징을 방문한 뒤 기존 계획을 전면 백지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중국 브랜드가 시장을 장악한 상황에서 현대차 브랜드로 맞붙는 것은 무모하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아크폭스 생산으로 방향을 돌리고, 베이징자동차와 관련 협의를 이어왔다.

 

○고전 거듭한 현대차

현대차는 중국 시장 철수를 ‘플랜B’로 고려할 정도로 중국 시장에서 수년째 고전을 거듭하고 있다. 한때 베이징(1·2·3공장), 창저우(4공장), 충칭(5공장)에 총 5개 공장을 가동하면서 연간 자동차 생산능력을 160만 대까지 끌어올렸다. 하지만 전성기를 달리던 2017년 중국의 사드 보복 이후 주춤거리기 시작했다. 중국 내수시장이 전기차 중심으로 급격하게 변화했지만 현대차가 발 빠르게 대응하지 못한 전략 실패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결국 BYD를 중심으로 한 중국 자동차 회사들이 전기차를 앞세워 대약진했고, 현대차의 중국 시장 점유율은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지난해 현대차의 중국 시장 자동차 판매량은 전성기의 20% 수준에 불과한 254000대까지 축소됐다. 합작법인인 베이징현대의 연간 영업손실은 8000억원까지 불어났다.

○재도약 발판 시동

현대차가 아크폭스 생산을 맡아 중국에서 전기차 생산라인을 구축하는 것은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을 포기할 수 없다는 내부 판단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현재 중국 현지 공장의 차량 생산 가능 물량의 절반도 채우지 못하고 있는데, 그 공백을 아크폭스 생산을 통해 메울 전망이다. 전기차가 대세인 중국 시장에서 전기차 생산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점도 아크폭스 생산을 결정한 배경으로 꼽힌다.

중국 시장에서 재도약을 꾀하는 현대차의 변화는 이미 시작됐다는 평가다. 올 8월까지 현대차의 중국 시장 생산·판매량은 15700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144000대)보다 9%가량 증가했다. 수익성이 높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중심의 과감한 변화를 꾀한 것이 통했다는 평가다. 6월 열린 최고경영자(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장 사장은 “(중국의) 남은 2개 공장은 생산 효율화를 추진하는 동시에 글로벌 모델 생산을 통한 신흥시장 수출을 확대하겠다”고 언급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 

 

 

 

 

3 Comments
G 저어 … 2023.10.11 22:47  
폭스바겐도 제2의 노키아 꼴 나는 거 아닌가 하는 마당에, 현기차가 버틸수 있을까??  전기차 시대를 늦추는 것 말고는~~~~
G 저어 … 2023.10.11 23:57  

 [기자 수첩] 폭스바겐 올리버에 날린 일침 "노키아가 구글 안드로이드에 한 말"

https://www.autoherald.co.kr/news/a...

 

 

G 반박시니말이맞아 … 2023.10.12 09:02  
현대차가 중국 자동차 하청 하는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