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실적 시즌 개막 자동차 `활짝` , 반도체 `선방`
국내 주요 기업들이 이번 주부터 본격적으로 올해 3분기 성적표를 공개한다. 고유가와 고금리 등으로 글로벌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불황의 늪에 빠진 반도체 업계는 바닥을 확인하고 반등을 모색하는 분위기다. 자동차와 배터리 업계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최근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둔화함에 따라 희비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이번 주 LG에너지솔루션·LG디스플레이(이상 25일), SK하이닉스·삼성SDI·현대차(이상 26일), 기아·LG전자(이상 27일)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이 줄줄이 3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지난 11일 올해 첫 조 단위 분기 영업이익을 잠정 발표한 삼성전자는 오는 31일 사업 부문별 세부 실적이 포함된 3분기 확정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불황의 터널을 지나고 있는 반도체 업계의 경우 '바닥을 찍었다'는 관측이 대체적이다. 연합인포맥스가 최근 1개월 내 보고서를 낸 증권사 11곳의 컨센서스(실적 전망치)를 집계한 결과, SK하이닉스의 3분기 영업손실은 1조6145억원으로 추정됐다.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26.14%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SK하이닉스의 2분기 영업손실 규모는 2조8821억원이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SK하이닉스가 우위를 점한 고대역폭 메모리(HBM) 매출이 늘고 D램 평균판매단가(ASP)가 상승하며 선방한 것으로 보인다. 김록호 하나증권 연구원은 "D램 업황은 재고가 정점을 지나며 우상향 방향성을 보이고 있는데 SK하이닉스의 실적 개선 속도와 폭이 경쟁사 대비 우월하다"며 "다만 낸드는 수요 부진으로 출하량이 부진해 실적 개선 폭이 미미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11일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2조400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77.9%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메모리는 감산 효과로 D램 ASP가 상승하며 적자 규모가 축소된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에서는 반도체 사업을 총괄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의 적자 규모를 3조7000억원 안팎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운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DS 사업부는 출하량이 예상 수준을 밑돌았지만, 가격이 반등한 점이 특이점"이라며 "신제품 영향으로 디스플레이 개선 폭이 기대 이상이고, 모바일로 물량 개선 대비 수익성은 나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다만 가전은 소비 부진으로 2분기보다 실적이 악화된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