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시총 4700억, 삼프로TV 2500억? 고평가 논란 속 IPO 시동
최근 동영상 조회수도 지지부진했다. 유튜브 통계 분석업체 플레이보드에 따르면 삼프로TV의 최근 30개 영상의 평균 조회수는 2만9000회로 구독자 대비 1.2%로 나타났다. 비슷한 구독자를 보유한 채널들의 평균 조회수는 97만회였다.
이브로드캐스팅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7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8% 감소했고, 같은기간 매출액은 282억원으로 18.2%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58억원이었다. 기업가치 2500억원을 지난해 순이익으로 나눈 주가수익비율(PER)은 43배 수준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유튜브 채널이 상장한 전례가 없어 직접적인 비교대상은 없지만, 방송국과 견줘도 PER 차이가 크다. 대표적으로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SBS의 시가총액은 4700억원으로 PER가 3배에 불과한 상황이다.
가장 유사한 기업으로 거론되는 한국경제TV의 시총은 약 1400억원이다. 이를 지난해 당기순이익(89억원)으로 나누면 PER는 약 15.6배로 이브로드캐스팅의 PER 대비 3분의 1 수준이다.
이브로드캐스팅이 기업가치를 측정한 근거는 향후 5년간 추정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올해 38억5300만원에서 내년 147억원, 2025년 232억원, 2026년 334억원, 2027년 451억원으로 추정했다. 5년 후 영업이익 규모가 12배 가까이 뛸 것이란 전망이다.
이브로드캐스팅 매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 광고수익과 교육매출이다. 특히 내년부터는 해외 실적이 포함됐다. 삼프로TV가 미국과 중동 및 북아프리카, 유럽연합 및 영국, 일본, 동남아국가 등 8개 지역에 채널을 확장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해외 광고수익은 2024년 59억원에서 2027년 336억원으로, 국내 광고수익은 올해 93억원에서 2027년 201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추산했다. 2027년 예상 교육매출은 국내 113억원, 해외 16억원으로 추정했다.
이브로드캐스팅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7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8% 감소했고, 같은기간 매출액은 282억원으로 18.2%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58억원이었다. 기업가치 2500억원을 지난해 순이익으로 나눈 주가수익비율(PER)은 43배 수준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유튜브 채널이 상장한 전례가 없어 직접적인 비교대상은 없지만, 방송국과 견줘도 PER 차이가 크다. 대표적으로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SBS의 시가총액은 4700억원으로 PER가 3배에 불과한 상황이다.
가장 유사한 기업으로 거론되는 한국경제TV의 시총은 약 1400억원이다. 이를 지난해 당기순이익(89억원)으로 나누면 PER는 약 15.6배로 이브로드캐스팅의 PER 대비 3분의 1 수준이다.
이브로드캐스팅이 기업가치를 측정한 근거는 향후 5년간 추정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올해 38억5300만원에서 내년 147억원, 2025년 232억원, 2026년 334억원, 2027년 451억원으로 추정했다. 5년 후 영업이익 규모가 12배 가까이 뛸 것이란 전망이다.
이브로드캐스팅 매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 광고수익과 교육매출이다. 특히 내년부터는 해외 실적이 포함됐다. 삼프로TV가 미국과 중동 및 북아프리카, 유럽연합 및 영국, 일본, 동남아국가 등 8개 지역에 채널을 확장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해외 광고수익은 2024년 59억원에서 2027년 336억원으로, 국내 광고수익은 올해 93억원에서 2027년 201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추산했다. 2027년 예상 교육매출은 국내 113억원, 해외 16억원으로 추정했다.
SBS 시총 4700억, 삼프로TV 2500억?…‘고평가 논란’ 속 IPO 시동 : 네이버 증권[사진 출처 = 삼프로TV 인스타그램]구독자 233만명을 보유한 경제 유튜브 채널 ‘삼프로TV’ 운영사 이브로드캐스팅의 기업가치를 두고 고평가 논란이 제기된다.금융·투자의 마중물 역할을 하는 채널이 되려 몸값을 ‘뻥튀기’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성장세가
https://finance.naver.com/news/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