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안타 리서치센터 데일리 섹터

유안타 리서치센터 데일리 섹터

G 0 2347 0 0

17467774484711.jpg

 

17467774488137.jpg

 

 

유안타 리서치센터 데일리 섹터 News & Comments(06/03)

■ 반도체 이재윤(02-3770-5727)

▶️글로벌 반도체 기업 주가
- 상승: AMD +6.6%, Qualcomm +2.6%, Micron +2.1%
- 하락: TSMC -3.6%, TEL -0.7%, ASE -0.5%

▶️News & Data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네덜란드 ASML 방문위해 6개월 만에 해외 출장

Global semiconductor equipment billings grow 5% in 1Q22, says SEMI


■ 디스플레이/이차전지 김광진(02-3770-5594)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Baoan +9.5%, CATL +7.1%, Ningbo Shanshan +3.5%
- 하락: Umicore -3.1%, Sumitomo -2.2%, AUO -1.7%

▶️News & Data 
LG화학·고려아연, 이차전지 소재 ‘전구체’ 합작사 설립

SK온 배터리, 中 공세에도 사용량 140% 늘었다… LG·삼성은 주춤


■ 전기/전자 백길현(02-3770-5635)

▶️글로벌 전자부품 기업 주가
- 상승: Skyworks +1.8%, Murata +1.7%, Walsin +1.7%
- 하락: Sunny Optics -2.1%, Whirlpool -2.0%

▶️News & Data 
샤오미 TV '스크린 탈락 현상' 발생..."생산 과정 문제" 시인

Apple's new iPhone and iPad software will reportedly add lots of big changes

Xiaomi's risk in India rising amid regulator scrutiny
 
■ 화학/정유 황규원(02-3770-5607)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Reliance +3.5%, BASF +2.6%, Formosa Plastics +1.9%
- 하락: Sinopec -0.9%, LUKoil -0.7%

▶️News & Data
LG화학·고려아연, 이차전지 소재 ‘전구체’ 합작사 설립

OPEC+, 추가 증산 합의에도 유계…미-사우디 관계 개선되나

한전, 외상으로 전기 구매 가능... ‘채무불이행’ 가능성 높아

Mayflower Wind Merges Massachusetts Projects, Both to Grid-Connect at Brayton Point

(중국 석화제품 가격 동향, 6월 2일)
- 상승폭 大: MTBE +2.61%  말레산무수물 +1.29%  아디프산 +1.08%  하락폭 大:  황린 △1.28%  DME △1.22%  디젤 △0.83%

(싱가폴 복합정제마진 동향)
- 2022년 1분기 8.1$ → 2022년 5월 21.1$ → 5월 4주 19.9$/배럴(과거 평균 6.0$, 손익분기점 4.5$) → 6월 2일 22.25$/배럴

(미국 원유 재고)
- (현재 재고) 414.733Mb, (발표) -5.068Mb, (예측) -1.350Mb

(미국 정유사 가동률)
- (5월 3주) 93.2%, (5월 4주) 92.8%


■ 철강/금속/자동차 이현수(02-3770-5718)

▶️글로벌 철강/금속 기업 주가
- 상승: Baoshan +1.6%, ArcelorMittal +1.2%, JFE Holdings +0.5%
- 하락: China Steel -2.6%, Nippon Steel -1.2%, Nucor -0.6%

▶️글로벌 자동차 기업 주가
- 상승: NIO +8.4%, Honda +4.5%, Toyota +3.3%

▶️News & Data 
현대차, 5월 32만4039대 판매…반도체 수급 차질에 전년比 0.5% 감소

기아, 5월 23만4554대 판매…반도체 여파에 전년比 4.9% 감소

車 강판값 톤당 15만3천원 인상 최종 타결…차값 더 오를까

포드, 휘발유 자동차 및 전기차 생산에 37억 달러 투자


■ 건설/건자재 김기룡(02-3770-3521)

▶️글로벌 건설 기업 주가
- 상승: JGC +2.3%, Fluor +1.1%, Technicas +1.1%
- 하락: Saipem -5.9%
 
■ 통신서비스/지주회사 최남곤(02-3770-5604)

▶️글로벌 통신 기업 주가
- 하락: Siegfried -1.3%, Plug Power -1.0%, AT&T -0.5%

▶️News & Data 
공모주 한풀 꺾였는데 괜찮나…'인터넷은행 1호' 케이뱅크, 연내 코스피 상장 (매일경제)

LG, 지주사 첫 ESG 보고서 7월 중 발간


■ 인터넷/게임 이창영(02-3770-5596)

▶️글로벌 인터넷/게임 기업 주가
- 상승: Salesforce +17.6%, Amazon +4.4%, Baidu +4.2%
- 하락: Tencent -0.9%

▶️News & Data 
네이버클라우드-삼성전자, 국내 1호 '5G특화망' 상용화 협력

크래프톤, 창작자 중심 메타버스 '미글루' 베일 벗었다…"2023년 출시 목표"
 
■ 화장품/음식료 박은정(02-3770-5597)

▶️글로벌 화장품 기업 주가
- 상승: YSG +7.4%, KOSE +3.9%, Estee Lauder +3.8%
- 하락: Proya -1.5%, Shanghai Jahwa -1.0%, P&G -0.5%

▶️글로벌 음식료 기업 주가
- 상승: EVK +2.6%, Asahi +2.1%, Dali +0.8%
- 하락: Ajinomoto -4.1%, Wantwant -2.3%, MDLZ -0.8%

▶️News & Data 
"인프라 투자 속도" 중국, 150조원 대출 확대 지시

LG생활건강 화장품 브랜드 '후', 중국서 '저명상표'로 인정

아모레 이니스프리, 베트남서 스킨 랭킹 3위…랑콤 제쳤다

탈모샴푸 시장에 도전장 낸 신세계인터내셔날 자주

식품 원재료 관세 0% 적용…가격인하 과연 나올까?

진격의 'K라면'…5월 역대 최대 수출액 찍었다

하이트진로, 화물연대 파업에 이천공장 생산 중단

CJ제일제당, 日서 MSG 특허권 소송 합의로 종결

원자재값 뛰자…농심, 日 라면값 10% 올린다


■ 소매/유통 이진협(02-3770-5659)

▶️글로벌 유통 기업 주가
- 상승: Shopify +6.3%, Amazon +4.4%, Macy's +0.7%
- 하락: Coupang -2.4%, Nordstrom -1.6%, Dufry -1.5%

▶️News & Data 
[단독]"정수기 렌털료도 쑥"…LG 상하좌우 정수기 월렌털료 6.6%↑

롯데백화점 광복점 하루 만에 영업 재개…"2025년 롯데타워 완공"

거리두기 풀리자…여행·교통 온라인쇼핑 90% 급증

IPO 신발끈 동여맨 오아시스마켓, 공모전략 차별화 효과 볼까?
 
■ 은행/증권/보험 정태준(02-3770-5585)

▶️글로벌 기업 주가
- 상승: MUFG +1.5%, HSBC +0.4%
- 하락: Credit Suisse -1.1%, Morgan Stanley -1.1%, Goldman Sachs -0.8%

▶️News & Data
 - 6월 1일 거래대금 14.2조원 (vs. 2021년 평균 27.3조원, 2Q21 평균 27.1조원, 1Q22 평균 19.8조원, 2Q22 누적 평균 17.6조원)
- 5월 31일 신용공여 잔고 41.6조원 (vs. 2021년 평균 42.0조원, 2Q21 평균 41.7조원, 1Q22 평균 41.6조원, 2Q22 누적 평균 42.1조원)

▶️코멘트
은행 부실채권비율 줄고 '리스크 대비' 대손충당 늘었다

- 금융감독원의 ['22.3말 국내은행 부실채권 현황(잠정)]에 대한 보도
(금감원 보도자료: https://bit.ly/3PXPYxu) 

- 1분기 은행 부실채권비율은 전분기말 대비 0.05%pt 하락, 대손충당금적립률은 전분기대비 15.7%pt 상승하여 건전성 추가 개선을 시사. 이에 따라 부실채권비율과 대손충당금적립률은 2019년 1분기 이후 13개 분기 연속 개선 

- 이런 중에 1분기에 코로나19 선제 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하여 대손충당금적립률이 한 차례 크게 상승한 것이기 때문에 언론이나 당국의 표현대로 '착시효과'라고 매도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판단. 오는 9월 정책금융이 종료되면 추가 충당금 적립이 아니라 오히려 환입을 시켜야 할 정도로 많은 충당금을 적립했기 때문






유안타 리서치센터 기업분석팀 채널

유안타 리서치센터 투자전략팀 채널

유안타 티레이더 인포 채널
www.myasset.com/tradarinfo

유안타 리서치센터 카카오톡 채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