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티그룹, 머크 목표주가 하향

씨티그룹, 머크 목표주가 하향

G 9 1581 0 0

9 Comments
G 긍정과부정사이 … 2021.11.29 23:53  
코로나 치료제 3개 후보군 중, 로슈는 폭망, 머크는 별로라서 화이자가 현재 독보적입니다.
G NAVER … 2021.11.29 23:59  

넵 제생각도 그렇네요 화이자가 순항하면 컨택트는 다시 오를듯요

G 끔찍이7호 … 2021.11.29 23:56  
미국 안좋으면 안좋다고 바로 투자의견 하향때려버리네요 ㄷㄷ

머크정도면 몇백조짜리회산데...

역시 천조국행님덜은 무섭

G NAVER … 2021.11.30 00:00  

천조국 행님들 가차없지요 ㅋㅋ 바로 한방에 훅 보내버리네요

G 무지빠른고양이 … 2021.11.30 00:23  

화이자도 사짜느낌이라 조심해야할것 같아요.

 

백신도 임상 엉터리라고 폭로 당해서, 치료제 효능좋아도 임상검증 빡세게 하겠죠.

G [* 비회원 *] … 2021.11.30 02:15  
화이자 경구용 치료제(항바이러스제)도 실제로 임상 결과 나오거나, 대량 투약되면 효과가 떨어질 가능성이 커요.

이건 약이 나빠서 그런게 아니라, 바이러스 자체가 박테리아와는 달리 케미컬 의약품으로는 잡기가 힘듭니다...

기전 자체가 복잡하고, 내성 문제도 많고 그렇거든요...항바이러스제 만들기가 쉬웠으면 

진즉에 에이즈 완치 치료제, 감기 치료제, 대상포진 치료제 등이 나왔겠죠...

현재 중증 환자들에게 투약 중인 항바이러스제인 렘데시비르의 경우도 

코로나19 초기 사태때 소규모 임상때 87%의 치료 효과를 보여서 도입됐는데,

실제로 대량 투약을 해보니 영 효과가 없다는 반응이죠...WHO에서는 아예 효과가 없다고 밝히기도 했고요.

경구용보다 효과가 좋은 정맥 주사형 항바이러스제도 이 정도면,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는 더 떨어지기 쉽습니다...

거기다 화이자나 머크 같은 대형 제약사들이 최근 코로나 사태때 보여준 임상 결과를 보면

약간...자기들 입맛에 맞게 임상을 설계하고 유리한 결과가 나오도록 의도를 많이 가진 듯 싶습니다...

어차피 세계 유수 대형 제약사라는 이름 값이 있다보니 다들 이러한 임상 값을 신뢰하는 경향이 크니 더더욱 그런거 같고요...

 

G [* 비회원 *] … 2021.11.30 02:18  
참고로 신종플루때 치료제로 각광 받은 타미플루의 경우도 그 치료 효과에 대해서 논란이 많습니다. 진짜 효과가 좋아서 게임체인저가 된게 아니라, 신종플루 사태 당시에는 단기간내 백신 개발 기술이나 여러 다양한 치료제(항체 치료제 등) 개발 기술이 떨어지다보니, 자연스레 유일한 대안이었던 타미플루에 의존하게 된 이유도 있거든요. 
G 서울탈출 … 2021.11.30 09:52  
경구용 임상과정 이슈하나로도 엄청난 문제가 있는건데 무시하더군요 - . -;;;
G 오직평화 … 2021.11.30 09:10  
부작용도 많고 30%짜리 목숨걸고 먹을 필요가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