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뉴비를 위한 오늘의 경제뉴스 요약(250324)

경제 뉴비를 위한 오늘의 경제뉴스 요약(250324)

G 6 2271 0 0

분명 5일전까진 바람에 살이 에는거 같았는데

오늘은 반팔을 입어도 땀이 나네요

 

역시 킹한민국은 기후변화 테스트서버인건가 ㄷㄷ

 

 

17467885349764.png

 

 

6 Comments
G 슨히 … 03.25 08:31  
사람들이 최저시급이 올라서 다들 기뻐하는데...인건비가 오르면 전체적인 물가상승이 뒷받침 됩니다.

인건비가 올라서 월급이 오르는게 보면 모든 물건의 가격이 오른다고 보면 됩니다...

이걸 계속 반복하면 정말 말도안되는 인건비가 되는데...그때가 되면 소비위축으로 가격이 떨어지는 디플레이션이.....정말 무섭네요...적정선을 지켰으면 합니다.

G 뻔돌 … 03.25 10:19  
정말 할말이  없네요.

물가상승에 인건비가 미치는 영향이 몇프로나 되나요?

최저 임금에 몇배나 높은 임금을 주는 대기업은 진작에 망했어야 되는건데 맞는 논리인가요?

최저 임금은 한국에서 살수있는 최저한의 임금입니다 

월 2백만원 갖고 한국에서 정상적으로 살수 있나요?

고민 좀 하고 삽시다 제발!

G 슨히 … 03.25 10:51  
^^. 뭐 사람마다 느끼는 체감이 다르니까요.

최저 임금이 오르면서 도미노로 중소기업 임금 다 오르고, 중견오르고, 대기업 올랐습니다.

현재 아파트가격이 왜 오르나? 너무 가격이 과하다. 이런 생각 안하셨나요?

정말 많이 올랐지만 최근 4개년간 생각보다 오르는 추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예를들면 건설업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용이 거의 35~40%에 육박합니다. 일전에는 20~25% 수준이었는데 이것도 지금은 안맞아요. 용접 일당이 40만원이 넘어요. CO2 용접사가 잡부도 이제 20만원입니다.

일당 오르는데 아파트가격 너무오른다~ 생필품 너무오른다 이런얘기는 할 얘기가 아니라는 겁니다.

인건비가 1차벤더부터 소비자까지 오는데 1번만 거치는것도 아니라는 거에요.

재료비는 뻔하죠~ 인터넷보면 가격이 다 나오는데. 그런데 인건비는 업체수가 거쳐갈때마다 다 1공씩만 붙어도 최소 3공입니다. (예시를 들면) 가공되는 모든 재료비에 인건비가 붙는겁니다.

대기업은 마진률이 최소 25%입니다. 다들 차이가 있지만 꽤 높습니다. 

일은 중견,중소가 하면서 중간에 먹는게 그래요. 그래서 중소기업이 일은 하면서 많이 안남습니다.

그러면 또 그러시겠죠. 그런 중소기업은 도태되어야 한다. 그럼 대한민국에는 대기업馨 남는 회사가 없어야되겠네요. 전국 95%의 기업이?? 극단적으로 생각하지말고 좀 의견 공유좀 합시다.

저도 고민했습니다만 남의 의견을 이렇게 매도할게 아니라 수치로 얘기해주실수 없을지요?

G 두번째바벨탑 … 03.25 20:19  

어...본문 내용은 인건비가 높다 낮다보다는 차지하는 비중에 대한거긴 합니다만

 

사실 인건비가 높냐 낮냐의 문제는 사람마다 관점마다 다 다르게 평가되는 이슈가 아닐까 싶습니다

G 뻔돌 … 03.25 15:10  

연도시급(원)/월급(209시간 기준, 원)/인상률(%)/인상액(원)

2020/8,590/1,795,310/2.87/240

2021/8,720/1,822,480/1.51/30

2022/9,160/1,914,440/5.05/440

2023/9,620/2,010,580/5.04/60

2024/9,860/2,060,740/2.52/40

 

최저임금은 5년동안 13%인상됐습니다. 

 

분명 제가 문해력이 떨어지지 않는데 왜 나왔는지 모를 마진율은 무엇을 말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물가상승에 예로 인건비 비중이 가장높은 업종인 건설업 을 말씀  하시는데 건설물가 상승이 자재비 상승 문제라는게 원인이고 기업에서도 그렇게 주장하며 분양가를 높입니다 

 

그리고 증권 포럼이니 한국제조업에서 opm 10프로만 되도 훌륭한 기업으로 평가 받는거 아시리라 믿습니다. 다만 대기업 마진율 25%는 어느 회사기준을 얘기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애초에 제논리의 요점은 최저임금은 대한민국에서 생활할수 있는 최저한의 생활비인데 그것을 무작정 누르는게 맞는 선택일까요?

 

최저임금  받는 사람도 살아야 되고 그 사람들이 소비를 해줘야 경제도 돌아갑니다 

 

그리고 최저임금 올라간다고 그 위로 받는 사람들 더 주지않습니다  여태껏 월급받아본 입장에서 내월급 상승률은 평균 3~4프로이지 최저임금 많이 올라간다고 중기업 대기업 월급 그렇게 올라가지 않아요. 그것도 연차에 따른 연봉테이블 상한선이 있어서 임원달지 않는이상 더 주지도 않습니다.

 

중소기업은 도태되야  된다고 말한적 없고요. 왜 최저임금이오르면 안되냐는  반론 일뿐이었습니다

 

의견을  매도했다고 느끼셨다면 사과 드립니다. 솔직히 흥분하긴했습니다 

다만 최저임금 인상이 물가상승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라 얘기하는데에는 전혀 동의할 생각 없습니다 

 

아파트 가격상승은 탐욕이 일으킨 상승이고 투자로보고 상승된거지 임금인상이 원인이 아닙니다

G admin_noreply … 04.01 14:49  
icon_ppom_coupon_pc.png 인기글로 선정되어 뽐쿠폰이 발급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