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그-투자뉴스) 예맨 후티반군의 수에즈 운항선박 공격

(포그-투자뉴스) 예맨 후티반군의 수에즈 운항선박 공격

G 2 1466 0 0

(포크의 안개속 투자) https://blog.naver.com/miniet/22329...


항상 뉴스가 터지면 일단 로이터부터 체크하는게 좋다. 간결하고 팩트위주로 기술하기 때문이다. (잡설이 없어서 좋음)

지난번 호주LNG 파업 사태에는 거의 일단위로 파업 현황을 호주 셰브론 노조의 페이스북, 노조원들의 SNS글, 호주 파이낸셜 유료기사 등을 체크하면서 정보를 모았지만 사실 로이터 뉴스 내용에서 크게 벗어난 게 없었다. 그만큼 로이터 뉴스를 상당히 신뢰하는 이유는 대체로 현실에서 수 차례 검증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

예맨의 후티반군이 수에즈 운항 선박 2대를 공격해서 세계 최대 컨테이너 선사 MSC를 포함한 2개 선사가 토요일 수에즈를 피할거라는 뉴스가 떴다.

자연히 지난번 21년 에버그린 좌초 사태를 떠올릴 수 밖에 없는데

17467832734037.jpg

대형 컨테이너 선박이 이렇게 옆으로 누워버리면 좁디 좁은 수에즈는 노답이 된다는걸 절실히 보여준 사례이다.

21년 3/23일 좌초되고 29일이 되서야 배를 부양시켜 문제가 해결될 수 있었다. 물론 우리가 궁금한건 사고 자체가 아니라 경제에 준 영향이다.

수백~수천억달러의 운항비용 손실이 발생했고 전 세계 탱커(유조선, LNG선)도 발이 묶여 유가가 6% 상승하고 세계 물류의 12%가 중단되었다.

그렇다면 이번 사건으로 또 유가가 폭등할 수 있을까?

먼저 마린트래픽에서 실제로 수에즈 운하의 물동량이 막혀있는지 확인해보자.

17467832740238.png

전혀 운항에는 문제가 없다. 물동량은 계속 꾸준히 이동 중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문제가 생긴 2대 선박의 상황을 보자.

첫번째는 화물선 알자스라호인데 예멘의 후티 점령지에서 날아온 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에 맞아 컨테이너 1개가 바다로 떨어졌고 선상에 화재가 났다가 이미 진화되었다고 한다. 이 배의 선사는 독일 하파그로이드이며 이스라엘에도 사무실이 있다고 한다. 현재 지부티공화국 항만 앞에 위치하고 있다. (잠깐 피신 중인듯)

17467832750338.png

 

 

두번째는 세계최대 선사 MSC의 팔라티움3호인데 미사일 피격 이후 화재가 발생해서인지 알자스라호와 마찬가지로 같은 지부티공화국 항만 앞에 정박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17467832755913.png

 

2번의 사건이 몇시간 간격으로 발생한 만큼 세계 2위 해운사인 덴마크의 머스크는 운항 중지를 통보한다. 해당 선박들을 아프리카 주변 우회 항로로 보낼 예정이라고 한다. 한마디로 희망봉 루트로 보내겠다는 것이다. 이번 선박이 공격당한 독일 컨테이너 해운사 하파그로이드 역시 홍해를 통한 운항을 일시 중단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후티는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공격에 보복하는 차원에서 이 해협을 지나가는 선박을 공격 중이며 홍콩 선적 화물선을 향해 미사일을 빗맞혔고, 지난 13일에는 미 해군 구축함 메이슨호가 홍해를 지나는 마셜제도 선적 유조선의 요청으로 후티가 발사한 무인 항공기를 격추했다.

수에즈 운하를 지나가지 않으면 어떻게 가야할까? 다음 지도를 보면 얼마나 노답인지 알수 있다.

17467832761062.png

 

위와 같이 아프리카 희망봉을 지나 돌아돌아돌아서 겨우 스페인과 모로코 사이 지브롤터 해협으로 접근 가능한 구조이다.

 

다음주 유가가 어느정도 상승할 것은 같지만 문제는 펀더멘털적인 변화 요소는 아니라는 점이다. 지난번 에버그린 사태처럼 실제로 항만이 막힌 것은 아니고 단순한 2대 선박의 위협 정도로 이해해야 하므로 오히려 특수한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해야 할 거 같다.


[요약] 예맨의 후티반군이 2대 선박을 미사일로 공격했지만 수에즈 운하 물동 흐름에 큰 영향은 주지 않고 있는 것 같다.


 

 

2 Comments
G -익명1- … 2023.12.17 23:01  
앞으로도 좋은글 부탁드려요.
G miniet … 2023.12.17 23:25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