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의 자가면역질환 파이프라인(램시마IV, SC, CT-P17) 분석
이번 영상에서는 셀트리온의 파이프라인을 적응증별로 분석하겠습니다.
셀트리온 파이프라인을 두 파트로 분류했습니다. 첫째,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인 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 램시마IV, 램시마SC 그리고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CT-P17입니다. 둘째, 표적 항암제인 리툭산 바이오시밀러 트룩시마,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허쥬마 그리고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CT-P16입니다.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파트에서는 램시마IV와 램시마SC를 중심으로 논의하되, 말미에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CT-P17을 논의합니다. 레미케이드와 휴미라의 활동 무대는 완벽히 동일합니다. 램시마SC와 관련된 논의가 CT-P17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셨으면 합니다.
오리지널 치료제의 적응증별로 분석합니다. 자가면역질환이라는 거대 시장 아래, 류마티스 관절염, 염증성 장질환(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은 저마다 독자적인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유력 경쟁 치료제와 비교하여 개별 시장을 검토하면, 치료제의 경쟁력을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본 영상에서는 유력 경쟁 상대를 JAK 억제제로 설정하였습니다.
셀트리온 파이프라인을 두 파트로 분류했습니다. 첫째,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인 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 램시마IV, 램시마SC 그리고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CT-P17입니다. 둘째, 표적 항암제인 리툭산 바이오시밀러 트룩시마,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허쥬마 그리고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CT-P16입니다.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파트에서는 램시마IV와 램시마SC를 중심으로 논의하되, 말미에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CT-P17을 논의합니다. 레미케이드와 휴미라의 활동 무대는 완벽히 동일합니다. 램시마SC와 관련된 논의가 CT-P17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셨으면 합니다.
오리지널 치료제의 적응증별로 분석합니다. 자가면역질환이라는 거대 시장 아래, 류마티스 관절염, 염증성 장질환(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은 저마다 독자적인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유력 경쟁 치료제와 비교하여 개별 시장을 검토하면, 치료제의 경쟁력을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본 영상에서는 유력 경쟁 상대를 JAK 억제제로 설정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