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 분석글

한국전력 분석글

G 9 1955 0 0

펌글입니다

 

링크 원본글

https://m.blog.naver.com/enppo/2215...

 

한국전력 주가 - 전기료 인상, 인하 등 정책변화에 따른 이익변동으로 지속 모니터링 필요

17467594370568.jpg

2019. 7. 2. 12:28

통계
본문 기타 기능

회사개요

동사는 원자력발전부문, 화력발전부문, 기타사업부문이 전기를 생산하여 전기판매부문인 한전공사에 판매하고, 이를 전국민에게 다시 판매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국가기반 인프라사업, 우량기업입니다.

따라서 동사의 영업이익은 전기를 생산하는 각 3개 부문의 원재료 매입가격과 매출가격이 한전의 원가를 결정지으며, 동사가 국민에게 판매하는 가격이 매출이 되어 최종 영업이익이 결정됩니다.

최근 몇년전부터 여름에 발생하는 수급문제,요금 등 문제로 가격을 인하해왔고, 이에 따른 전기판매부문의 실적이 감소하여 주가 또한 하락하여 왔는데, 이처럼 동사는 정부정책에 큰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구조로써, 전기요금 인상과 인하여부에 따라 이익 변동성이 발생하게 됩니다.

우선 지난 10여년간 동사의 판매량은 꾸준히 증가해 왔습니다. 2008년, 약 10년전 3,851억kWh 대비 1,410억kWh, 36.6%가 증가한 작년은 5,261억kWh가 판매되었으며, 꾸준히 1~3%씩 증가해왔습니다.

또한 판매량은 국민 소득의 증가, 기온변화, 국내 위치한 생산공장을 가진 제조업경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올해 1분기 기준 산업용 매출이 53.4%, 일반용 22.8%, 주택용 13.5% 비중으로 매출이 발생하며 그 외 기타부문이 10.3%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 그 외 기타부문 : 교육, 농사, 가로등, 심야용

17467594376454.png

이렇게 꾸준히 판매량이 증가해오며 한국전력 주가와 매출 또한 2009년 약 34조에서 2016년 60조, 영업이익 약 12조를 찍었으나 전기가격 등 이슈로 이후 매출은 정체, 이익은 감소 중에 있습니다. 특히 작년에는 약 2천억원 적자로 전환하며 올해 1분기까지 지속 적자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17467594382279.png

이는 2017년부터 이어진 요금 인하가 주요 원인으로 주목받았기에 각 용도별 변동추세에 대해 한번 확인해보면, 일반용은 2014년 이후 kWh당 130원으로 지속 유지추세이며, 산업용 또한 107원대로 유지하였으나 주택용이 2013년 125원 전후에서 올해 1분기 109원대로 12.8%정도 하락하였습니다.

그리고 기타부문을 차지하는 가로등, 심야, 농사용은 2013년 이후 유지하거나 큰 변동은 없어왔으며, 교육용 전기세가 115원 전후에서 15%가량 하락한 100원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17467594387421.png

그리고 단가대비 유형별 매출비중이 영향을 미치는데, 2016년 이후 전체 매출의 반이상을 차지하는 산업용 수요는 약 2.7%정도 감소한 것을 알 수 있고, 이를 일반용, 기타부문이 상쇄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7467594392006.png

결론적으로 2016년 이후 전체 매출 60조는 그대로 유지추세에서 13.5%를 차지하는 주택용 전기세인하, 기타부문의 교육용 요금인하, 산업용 매출비중 감소가 영업이익의 감소의 주된 요인이 되었고, 전기를 생산, 동사에 판매하는 원자력, 화력부문의 이익감소가 전체영향을 미쳐 한전 주가 또한 하락해왔습니다.

17467594398753.png

위에서 보시다시피 전기판매 이익감소가 2016년 대비 2017년에는 -3.3조, 원자력발전 -2.4조, 화력발전 -1.7조로 영업이익이 총 12조에서 7조 감소한 5조를 기록하였고, 2017년대비 2018년에는 전기판매 -3.8조, 원자력발전 -0.3조, 화력발전 -1.0조 감소로 총 -5.2조 감소하며 영업적자로 돌아서는 주요 원인이 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전력 주가 또한 이러한 이익감소에 따라 한때 63,700원이던 주가는 현재 25,000 전후를 횡보하고 있습니다.

17467594406615.jpg
17467594411233.jpg
17467594416618.jpg

이익개선 위해서는 요금 인상, 상업용 비중 증가 등이 이루어져야

동사는 정부정책의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기간산업이며, 요금인하는 국민들의 의식주, 소비와 소득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하므로, 정치적인 부분과 관련성이 있고, 주주들을 위한 한전 주가 상승과 단순히 기업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서 가격 인상을 추진하기는 어려우며, 현 경제상황 또한 좋지 않아 이익감소에 따른 요금 인상은 국민들의 여론에 부정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가격인상은 이전처럼 경기성장, 기업들의 이익성장에 따른 국민들의 소득증가로 정부정책의 변화가 이루어져야 가능한 부분이라 사료됩니다.

따라서 정부정책의 변동이 있지 않는 한, 현재 경제상황을 비추어봤을 때 한국전력 주가 상승과 매출,이익 증가는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사료됩니다.

이외 이익을 증가시킬 수 있는 부분은 원자력판매와 화력발전판매의 원가 개선인데, 상대적으로 이익률이 좋은 원자력판매의 비중은 줄이고 있고, 이를 화력발전으로 대체하고 있는 추세이며 원전비율 또한 정부정책에 따라 방향이 결정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동사의 이익개선은 정부정책을 제외하고, 해외원전 수주 증가, 또는 화력발전부문의 판매효율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화력발전부문의 원재료 원가상승, 비용개선 등이 어느정도 이루어 지는지 ?

9 Comments
G [* 익명 *] … 2019.07.13 08:15  
블로그 홍보 
G Flymooooon … 2019.07.13 09:27  

질봤습니다 요즘 바닥인갓 같은데 고민되네요

G 샤기어 … 2019.07.13 10:39  

한전은 정권바뀌기전 못가요 총선결과보고 생각하면되는종목

G kazu227 … 2019.07.13 17:53  

저도 동감 합니다. 

 

G 머대리 … 2019.07.13 16:29  

저도 우량주라고 생각하고 배당금 생각에 들어갔는데 이번 정권하고 잘 안맞는거 같아 반등이 어려울거라 생각해서 바닥이라고 해도 더 추매할 생각은 안드네요 

G 비즈마인드 … 2019.07.14 12:24  

종목분석이라고 하면서 그냥 이종목 저종목 기업개요만 적는 수준이네요.. 본인이 매수할 종목 찾는다는 생각으로 몇종목만 집중적으로 심도있게 분석해보시는 편이 본인 주식 인생에 훨씬 도움될겁니다. 물론 목적은 블로그 홍보해서 주식 리딩하시려는거겠지만요..

G berze … 2019.07.14 23:07  

한수좀 가르쳐주세요.. 괜찮게 보고 있는 종목있으신가요?

G 자일ㄹㅣ톨 … 2019.07.14 15:45  
어짜피 배당도 안하고 주주 보상 1도 없는 주식회사 아닌 주식회사인데

뭘 해도 오를 이유는 없음

그냥 주식 사들여서 상폐했으면함

G 쇼팬 … 2019.07.14 22:56  
이번정권에서는 오를일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