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도대체 어디에 투자를 해야할까 ?
블로그 글을 옮겨왔기 때문에 음슴체 이해 바랍니다.
--------------------------------------------------------------------------------------------------------------------------------
코로나 이후 한국의 경제면에서 가장 큰 목소리를 낸 것은 바로 반도체 슈퍼 싸이클 !
마치 반도체에 투자하면 투자가 모두 성공할 것같고 한국도 살아날 것같다는 뉴앙스의 글들이 무지 올라왔다.
반도체는 물론 미래의 발전에 디딤돌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요한 것은 맞지만...
세상에는 반도체 기업도 무지 많고 그 종류도 다양하다.
무작정 마구잡이로 투자하고 있지만 이제는 조금 뒤를 돌아보며 논리적 이성적으로 분석을 해보려고 한다.
반도체에 투자하고 싶으면 우선 그 주식의 가격을 보게 된다.
솔직히 이런 인기 주식에 투자할 때에는 주식 투자하는 사람들의 90%는 그냥 가격(의 변동성)만 보고 투자를 한다.
잘 나간다 싶으면 숫가락 하나 더 얹어서 갈 때까지 같이 가보자하는 심리로...
하지만 또 너무 잘나가면 무서워서 망설이기도 하고...(내가 아직도 ASML에 투자를 못하고 있는 이유)
하여튼 코로나 이후 가격의 변동만 보면...
Nvidia의 절대적인 우세다.
그 다음이 반도체 장비 업체인 ASML과 AMAT
그 다음은 공정업체인 Lam research, CPU에서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AMD, 팹리스의 제왕 TSMC
Nasdaq보다 못한 업체는 Dram의 MU와 한국의 삼성전자.
사실 이런 Hot한 분야는 가격만 보고 투자를 해도 충분해 보인다.
하지만 조금 더 생각을 하는 분들 또는 조금 더 논리를 찾고자 하는 분들 또는 조금 더 미래를 예측해 보고자 하는 분들은 오늘도 재무제표를 뒤지며, 또는 반도체 생산 과정과 업종을 뒤지며 공부를 한다.
하지만 이런 공부란 것이 반도체 무관한 업체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그냥 뜬구름 잡는 것같을 때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