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새로운 중국 수출 수혜주 찾기(Feat.사조산업)
안녕하세요! 새로운 투자 아이디어 정리 차원에서 썼던 글 공유하러 왔습니다. 사조산업 으악엌꽥꽥 좋다 풀매수하셈 이런 글은 아니니 재미삼아 봐주세용
2023년 발표되고 있는 한국의 수출 감소와 무역수지 적자는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수출은 5개월 연속 역성장이 예상되며, 수출 주요 품목인 반도체의 가격은 공급과잉 속에서 하락하고 있다. 그리고 주요 무역 상대국인 중국 수출마저 크게 감소하고있다. 이 같은 하락세가 당분간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기에 한국 경제의 앞날은 어두워 보인다.
하지만 이렇게 수출과 경제가 부진한 상황에서도 수출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품목이 있으며, 이 품목의 주요 수출국은 중국이다. 과거 차화정 랠리 시기의 화학기업의 강세와 화장품 기업의 강세는 중국 수출 호조의 영향이었기에 이 품목과 관련된 기업에 투자한다면 중국 수출 수혜주로서의 큰 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
실제로 중국 앞 냉동 대구와 냉동 참치의 수출 금액은 엄청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2019년에는 전년 대비 약 57%의 성장을 하였으며, 코로나로 수출입이 감소했던 2020년에도 7.1%의 준수한 성장을 달성했다. 그 후 2022년에는 무려 49.3% 성장을 통해 약 1.2억 불(약 1,560억 원)의 수출을 달성했다.
여기에서 드는 한 가지 의문점은 과연 중국인이 정말로 냉동 대구와 냉동 참치를 선호하기에 수출이 증가하는 것인가 하는 궁금점이 생긴다. 예전부터 중국인들의 주식은 수산물이 아닌 돼지고기였으며, 중국인들의 식탁에서 돼지고기가 워낙 중요하기에 돼지고기 가격은 민심을 좌우할 수 있을 정도로 돼지고기는 중국인에게 큰 의미를 갖는 식자재다. 그렇기에 돼지고기가 아닌 중국인들의 수산물 선호 현상은 다소 낯설게 느껴진다.
이에 중국인들의 수산물 소비에 대해서 찾아보면 과거와 다르게 최근 들어 중국인들의 수산물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그 성장세가 매우 가파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본이 가장 거대한 수산물 시장으로 알려졌지만, 중국이 이미 2019년부터 일본을 제치고 전 세계 수산물 시장 2위로 성장하였으며,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13.7%라는 엄청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었다. 2020년에는 시장 규모가 감소하였지만, 코로나로 인한 봉쇄 등의 영향이 있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최근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2030년까지 중국의 수산물 수요가 3배 증가하고 이에 따른 600~1,800만 톤의 국내 공급 부족을 예상한다. 중국 수산물의 국내 공급 부족은 수산물의 해외 수입으로 이어지고 이는 한국 수산물 기업의 중국 앞 수출 증가로 이어진다.
중국인들의 이 같은 대구와 참치 선호 현상은 대구와 참치의 수출량뿐만 아니라, 수출가격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 중국은 거대한 소비인구를 가진 시장이며, 중국 경제의 성장과 더불어 중국 내 수많은 소비인구의 구매력 또한 함께 상승하였다. 이 영향으로 중국인들이 특정 품목을 본격적으로 소비를 시작하면 해당 품목의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하고, 중국인들은 가격과 상관없이 구매력을 바탕으로 해당 품목의 소비를 계속 늘리기에 덩달아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순환에 빠지게 된다. 이 사례의 대표적인 품목이 아보카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