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 분석글

GS건설 분석글

G 0 807 0 0

펌글입니다.


원본글

https://m.blog.naver.com/enppo/2215...

 

GS건설 주가 - 매출과 이익 정체 중, 유가흐름 지켜봐야

통계
본문 기타 기능

GS건설 주가에 대한 포스팅은 작년 12월 6일 한 차례 했었으므로, 연도별, 사업부문별 실적추세와 어떤 사업을 영위하는지는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간단히 요약해 드리면, 2011년 이후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플랜트 경쟁적인 수주로 매출비중이 제일 높았으나, 이후 저가수주에 따른 건설사들의 적자에 따라 건설사별로 큰 손실이 발생하며 주가와 가치 또한 크게 하락했었습니다. 그러나 2014년 이후 국내 부동산 경기회복에 따른 주택부문의 실적이 개선되었고, 플랜트 사업 또한 2016년 이후 유가 상승과 저가수주 회피 및 수주심사 강화 등에 따른 이익이 개선되어 전체적인 이익이 개선되고 있음을 포스팅 해드렸습니다.

우선 2016년 이후 GS건설 실적추세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주택시장 실적개선과 플랜트부문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함에 따라 작년 매출 13조1,394억, 영업이익 1조645억을 달성하며 크게 개선된 실적을 보여왔으며, 올해 1분기에도 주택, 플랜트, 인프라 등 전부문이 흑자를 달성하며 매출 2조6,019억, 영업이익 1,914억을 달성, 영업이익률 7.4%로 호실적을 내었습니다.

17467594485969.png

그러나 부문별, 분기별 실적을 봤을 때 실적이 작년보단 다소 약화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주택부문실적은 전년 동기대비, 전분기 대비 이익측면에서 감소중에 있습니다. 이는 주택시장 경기가 2014~18년 대비 다소 정체하고 있는 것을 반증합니다.

17467594490962.png

플랜트부문 또한 작년대비 낮아진 매출과 이익을 이번 분기에 보여줬습니다. 특히 작년동기 대비해서는 많이 감소한 실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17467594495929.png

플랜트부문은 저유가에 따른 석유,화학 쪽 수주가 줄어들어 전체 수주액은 아직 전성기때인 2010년 이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2010년 716억달러를 기록했던 건설사들의 총 수주액은 2014년 650억달러에서 작년 321억달러로 50%이상 감소한 뒤 지속 정체를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외형적 매출은 증가하지 못하고 있는 추세이며 다행인 것은 플랜트사업부문 구조조정으로 건설사들의 이익은 적자에서 흑자전환 중이라는 것입니다.

올해 상반기 주요 건설사들 수주 총액을 봤을 때, 현대건설, 두산중공업, GS건설을 제외하곤 수주가 감소하였으며, 아래 6개사를 제외한 다른 기업들도 전체수주는 감소하였습니다. 동사 또한 수주가 LG쪽 중국, 베트남 공장 수주액이 절반을 차지하여, 다소 아쉬운 수주실적을 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특히 석유화학 쪽 수주는 한건도 없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17467594502238.png

GS건설 주가 또한 16~18년 개선된 실적에 힘입어 16년1월 저점 18,650원에서 작년말 56,500원까지 가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35,000원대까지 하락한 상황입니다.

17467594506708.jpg
17467594511728.jpg
1746759451736.jpg

그러나 외국인 지분은 꾸준히 상승하여 11%대에서 현재 32%대까지 올라온 상황입니다.

정체하고 있는 유가에 따라 매출성장 정체중

건설사들이 이전처럼 호실적, 주가상승을 이루기 위해서는 대형수주인 석유화학 플랜트 해외수주가 증가해야하나 아직 전성기 시절의 물량만큼이 발주가 나오지 않는 상황입니다.

이는 아래와 같이 저유가의 상황이 지속되고 있어 중동쪽으로부터 수주가 대폭 감소하였고, 미국의 셰일가스 개발을 통해 공급을 조절하며 유가를 정치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17467594524348.jpg

따라서 저유가가 지속될 가능성에 대비하여 국내 건설사 또한 타 플랜트나 건설 쪽 역량을 바탕으로 수익성이 나는 사업장만 수주하고 동사 또한 경쟁을 최소화하고 있어 플랜트부문은 당분간 매출과 이익이 정체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주택부문 또한 부동산 경기가 정부정책에 따라 지속 정체중에 있으므로 GS건설 주가가 상승으로 돌아서기 위해서는 현재 유가흐름이 상승세로 돌아서는 모습을 보여줄 필요가 있습니다.

일봉기준 유가가 작년 10월 배럴당 76달러에서 현재 60달러선에서 정체중에 있으므로, 유가흐름을 지속 지켜보시며 투자시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1746759453026.jpg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