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주회사 투자는 어떤 방식으로 할까? 두번째 (SK 지주)
지난시간에 지주회사 NAV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을 적어놨습니다
오늘은 제가 투자중인 SK 지주에 대해 좀 적어볼까합니다.
2020년말 사업보고서 기준
SK 종속회사의 숫자는 약 325개 (상장, 비상장 모두 포함)이고 매출은 88조, 영업이익은 0.16조 적자입니다.
작년의 경우 저유가로 인해 SK이노베이션의 실적이 거의 박살이 났고 (2.6조 적자)
이것때문에 매출 및 영업이익이 망가진 상태인것이고
보통은 100조 매출 3~5조 사이의 영업이익을 올린다고 보면 됩니다.
작년 88조 매출중 실제로 SK 지주에서 직접 하는것은 IT 서비스 사업정도이고(예전 SK C&C)
매출은 1.8조 영업이익은 0.2조입니다.
나머지는 이미 상장한 SK 이노베이션 계열 34조, SK텔레콤 계열 18조, SK 네트웍스 10조, SKC 3조,
비상장된 SK 건설 8조, SK E&S 6조, 기타 5조 등입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방법으로 직접하는 사업만으로 단순계산하면
0.2조 * 멀티플 10배(그냥 대충 넣은것입니다. 중요하지 않음) = 2조정도의 시총을 줄수 있고
삼성 SDS의 19배정도 멀티플 적용하면 3.8조정도가 SK 지주가 직접하는 사업의 가치입니다. (2~4조)
근데 들고있는 상장사 지분가치만 30조정도이고 (SK이노 8조, SK텔레콤 7조, 바이오팜 6.5조, 자사주 5조.....이전 첨부파일 참고)
비상장회사 및 투자한것들만 10조정도의 가치가 됩니다.
수급등을 무시하고 그냥 내일 당장 다 정리하겠어라고 팔아버리면 40조를 당길수 있다는것입니다.
근데 현재 시총은 20조 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런것때문에 할인율의 개념이 나온것이고요
단순하게 이야기해서 40조 주식들고있는건 알겠는데 팔것도 아니고 그걸로 뭐할껀데 라는 개념인겁니다.
그래도 그냥 무시하는건 좀 그러니 그중에서 그냥 50%만 인정해줄께 라는 사람도 있고
난 그중에 30%만 인정할래 라면서 각자의 논리로 주장하는것입니다.
시장에서 그것들은 기반으로 SK 지주의 주가를 정하는 것이고요
(LG, SK, GS, CJ 등등 여러 지주회사의 할인율은 다 제각각입니다. 삼성이나 현대차 그룹은 조금 다릅니다)
여기에 종속회사들의 앞으로의 전망 (배터리, 정유, 바이오, 수소, 건설, 통신, AI, 가스, 반도체 등등) 및 비상장 자회사의 가치 (상장된 회사들이야 시총에다가 지분율 곱하면 지분가치라고 하지만 비상장회사들은 얼마를 줄껀데?), 그리고 배당금을 얼마나 주는지
그리고 자체사업의 가치, 어디에 투자중인지, 차입금은 얼마 등등 변수가 막 등장합니다.
그래서 보통 저는 지주회사는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복잡하고 매우 어렵거든요...
그것말고 좋은회사들이 많은데 굳이 왜?
그런데 작년부터 SK가 꽤 괜찮은 판을 짜면서 실행하는것보면서 지주회사 공부를 시작했고
현재는 길게보고 포트에 추가한 상태입니다.
이유는 SK에서 약장수모드로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전문가치 투자자", 25년까지 시총 140조 (현재 20조)까지 올리겠습니다
라서가 아니라
현재 밑그림이 반절은 완성 되어있는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결론만 정리하면
1. 연간 1조이상의 배당금 재투자 + 기존 투자 이익 회수 + 신규 투자 유치 순환구조에
2. 비상장 회사인 SK E&S(수소), SK 실트론 (반도체), 팜테코 (바이오), SK 건설 (건설 + 연료전지?) 등 앞으로 시장이 좋아할만한것만
상장시킬 준비중
3. 상장중인 종속회사 SK이노베이션, SK텔레콤, SKC, 네트웍스, 바이오팜 등 모두 앞으로 성장가능성 높음
그리고 마지막으로 현재 SK지주의 지배구조는
최태원회장 18% + 기타 최씨 12% 해서 30% 정도입니다. (자사주 25%, 국민연금 8%)
근데 이걸로 300개가 넘는 회사들을 지배하는 구조인데 현재로서는 SK 지주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SK지주(27%) -> SKT(20%) -> 하이닉스 순으로 지분을 들고있는데 (최근 SKT 인적분할로 변동이 좀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는 손자회사인 하이닉스를 동원해서 투자가 불가능합니다.
뭔짓을 해서라도 반드시 SK지주의 가치를 확 올려서 지배구조를 강화해야합니다.
SK지주 20조짜리 지분 30% 들고있으면 6조정도인데 시간이 지날수록 나머지 자회사 + 손자회사들이 점점 확장하면서
컨트롤이 힘들어지게 될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자회사의 자회사인 손자회사들...예를들어 하이닉스 시총만 95조이고 점점 커질확률이 높습니다.)
무조건 SK지주 밑으로 끌어다 당겨놔야 나중에 그것들에 영향력을 행사할수 있습니다.
그러려면 무조건 SK 지주의 값이 비싸야 합니다.
이래서 SK 사장이 직접 PT를 하면서 저희는 지금보다 7배 주가를 상승시키겠습니다라고 약을 팔고있는것이고
투자내역 및 좋은것들은 다 발표하고 있는것입니다. (안좋은건 말 안해줌)
개인적으로 SK 지주의 가장 큰 투자포인트는 이것입니다.
뭔짓을 해도 SK 지주의 가치 (= 최태원 회장의 지분가치)는 무조건 올려야 한다.
그리고 역설적으로 가장 큰 리스크도 이것입니다. 지배구조를 위해서는 뭔가 뻘짓을 할수도 있으니깐요
이혼소송, 후계 문제 등 변수가 좀 있습니다. (+ 비상장 회사들의 IPO가 삐끗하는것도)
돈이 없으니 SK실트론 지분 인수처럼 법의 경계선에서 아슬아슬하게 나쁜짓을 하니깐요
최태원 회장을 개인적으로 별로 좋아하지는 않지만 큰 판을 짜는것은 매우 높게 평가합니다.
투자 관련해서는 그동안 한국에서는 보지 못했던 케이스이고요
암튼 글로 쓰니 매우 길어지네요
오늘은 여기까지만 하고요
시간이 된다면 현대차그룹도 한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비스를 중심으로 할려고 하는데 지난번 제대로 태클걸리고 다시 준비중으로 보입니다.
SK 지주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한 영상은 아래 참고하셔도 괜찮으실겁니다.
감사합니다.
PS. 다른 의견 있으시면 얼마든지 환영합니다. 추가로 절대 종목 추천은 아닙니다.
저는 이렇게 생각하다가 어느순간 갑자기 확 손절할수도 있고 지주사 투자는 매우 어려운 종목군 중에 한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