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폴리오 투자란? 정말 분산투자해야하나?

포트폴리오 투자란? 정말 분산투자해야하나?

G 10 1546 0 0

안녕하세요.

 

오늘은 포트폴리오 투자에 관해서 이야기 해봅니다.

 

요즘처럼 장이 좋은 때에...

 

다들 이것도 사고 싶고 저것도 사고 싶으시죠?? 그러다보니..  잔고에는 여러 종목..

 

반면, 장이 안좋을때는...

 

참 가격이 싼데..사고는 싶은데... "참자... 더 빠질거야.. 우선 정리할거 정리하고... 최소로 운영하자.."...  종목이 몇개뿐.

 

 

이것도 개미들에겐 정말 안좋은 투자 습관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분산투자를 하라고 합니다.

전문가들도 분산투자를 하라고 합니다.

투자론 책에서도 분산투자를 하라고 합니다.

 

그런데 정말 분산투자를 해야할까요??

 

이론대로라면 "맞습니다."

 

분산투자(포트폴리오)의 경우 위험을 분산할 수 있다고 합니다. 맞습니다.

이론적으로는 총위험 = 체계적 위험(분산불가능 위험) + 비체계적 위험(분산가능위험) 으로 구분됩니다.

투자 종목수가 많을 수록 비체계적 위험은 분산시킬 수 있어서 0에 가깝게 만들 수 있습니다.

 

반면 체계적 위험은 없앨수 없습니다.

 

10 Comments
G [* 비회원 *] … 2017.06.14 17:43  
인덱스 = 분산투자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요^^ 그리고 더 분산하려면 나라별 인덱스 및 채권etf까지 추가 한다면 되겠네요^^.
G 어린왕자수야 … 2017.06.14 17:50  
자산 포트폴리오는 부동산, 채권, 주식(펀드) 등으로 구성하는거죠. 그런데... 기준 수익률이 무엇이냐구 문제죠. 코스피 인덱스는 코스피 수익률을 추종하는 것입니다. 삼성전자 수익률을 추종하는데 인덱스를 사는 것은 전혀 쌩뚱 맞은 짓이죠.
G [* 비회원 *] … 2017.06.14 17:54  
네, 꼭 삼성전자를 사고싶었던 경우라면 당연히 맞는 말씀입니다^^. 제가 드린 말씀은 어떤 회사의 수익률을 따라잡는데 엉뚱하게 인덱스 펀드를 사는 경우는 아니고, 비록 적더라도 안정적인 수익률을 추구하는 경우의 말씀입니다. 아마 분산투자를 하는 이유가 큰 한방보다는 꾸준한 수익 및 심리적인 안정감 때문이 아닐까 해서요
G 어린왕자수야 … 2017.06.14 18:32  
안정적인 수익률을 추구한다는게 지속적인 수익창출을 의미하는데.. 분산투자에서 말하는 안정적은 수익률 변동을 없애는 거라서.. 두개가 맞지 않는거죠. 실제로 우리가 주고받는 말에서의 안정적이란 용어의 정의가 서로 안맞는 거죠. 그부분을 글에서 얘기하고 팠습니다. 너무 장황해서 이해가 어렵지만. 우리가 말하는 안정적인 수익률은 기대수익률... 포트폴리오에서 말하는 안정적인 수익률은 수익률 변동을 줄인 수익률.. 고로... 두개가 안맞습니다. 맨끝에 분산투자를 해야하는 이유가 큰 한방보다는 꾸준한 수익이라고 하셨는데.. 그래서 꾸준한 수익이 바로 인덱스를 추구하라는 거죠. 워렌버핏이 인덱스에 박으라는 이유가 그런 이유입니다. ㅎㅎ
G tjqtjq2 … 2017.06.14 17:51  
일목 요연하게 정리 잘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G 가는길입니다 … 2017.06.14 17:56  
분산투자가 중요한 이유는 90%의 한국주식투자자들이 전업투자자가 아니기때문이지요. 한두종목 몰빵하면 심리적불안감에 1시간이멀다하고 스맛폰으로 호가확인한다고 업무처리가 떨어집니다. 대부분 직장인들이 이부분에서 큰 수업료를 지불하는것이구요
G 어린왕자수야 … 2017.06.14 18:35  
즉, 수익률 변동 때문에 심리적으로 불안하다는건데...... 그게 주식시장에 들어오는 거랑은 참..안맞는거죠. 그럴거면 그냥 은행 예금을 박든가 인덱스를 박아야하는데... 어차피 각오하고 투자하는 건데.. 변동성이란 부분이 걱정이 되어서 분산투자를 한다...... 변동성이란 저희같은 개미가 관리하는 것이 아니죠. 그건 기관투자자들이 관리하는 거죠. 하루하루 큰 등락없는 수익률 창출..
G 가는길입니다 … 2017.06.14 17:59  
공부를 하시고 나름 시장에서 수익내시는분들은 분산투자의 중요성을 잘 아실겁니다. 5개종목이 있다고 치면 각각의 성향과 전략이 모두 수렴되어 짜여지는 포트폴리오인것이죠. 2개종목이 상승을 보여주고 3개종목이 하락또는 보합 상승종목에서 이익실현하고 하락종목 물타기또는 새종목으로 교체등 많은 전략이 각자에게 있는거지요. 즉 모든 투자법에는 각자의 사연이있고 결코 일반화될수없다는것이지요
G 어린왕자수야 … 2017.06.14 18:38  
말씀하신 전략에서 항상 개미들이 잘못하고 있다고 하는 부분이..오르는 종목을 팔고 내리는 종목을 사는 부분입니다. 제가 글의 초입에도 얘기를 했지만... 오를때는... 전부다 분산투자해서.. 수익률 다 까먹고... 내릴때는 내리는 종목에 물타기하고 해서 더큰 손실 보는 거죠.... 반대로 오를때 한 두종목 가지고 있고, 내릴때는 수십종목을 사서.. 코스피 하락수준의 손실만 기록하는게 나은 투자인것 같습니다.
G 가는길입니다 … 2017.06.14 18:48  
지수와 종목의 상관관계를 너무 얕게 아시는게 아닐까 생각됩니다. 분산투자의 본질은 지수추종종목들을 분산하는것이아니라, 배당주,가치주,테마주등으로 포함하여 기대수익률을 높임과동시에 리스크관리를 하는것입니다. 국제적인 경제지질학적 리스크가 아닌이상 지수가내린다고 전종목이 내린다는 식의 말씀은 공감하기가 어렵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