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2014년현재 인덱스ETF 투자법 KODEX로 시뮬레이션

2004년~2014년현재 인덱스ETF 투자법 KODEX로 시뮬레이션

G 4 996 0 0
오랜자료는 KODEX 뿐이라서 KODEX로 하였습니다.

KODEX 200은 실제수치
KODEX 인버스는 2009년 9월 16일(상장일) 이후는 실제치 그전은 추정치입니다.
KODEX 레버리지는 2010년 2월 22일(상장일) 이후는 실제치 그전은 추정치입니다.

용량초과로 Zip으로 압축해 올립니다.

P.S 노가다가 심하네요;;

4 Comments
G 산수유~ … 2014.03.16 12:16  
노가다 고생하셨네요. 무조건 100% 안전한 기법은 없으므로, 만드신 모형도 정말 훌륭한 모델입니다. 하지만 만일 저 모형대로 2008년 5월 경에 시작을 했다면, 2009년 1월까지 잔고가 - 달리고 있을테고, 그때 보통 심리적으로 고통스러워서 손절할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들더라구요. 언론에서는 대세상승으로 주가는 2500, 3000 간다는 소리에, 남들은 수익률 대박났다는 소리 들을테고.. 그런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할 수 있는 배짱이 필요하겠네요 ㅎ
G 산수유~ … 2014.03.16 12:24  
저는 일본이나 미국의 지표를 가지고 테스트를 해보았는데요, 그럴 경우에는 꽤나 위험해지더라구요. 혹시 제가 테클을 건건 아닌지 모르겠네요. 암튼 정말 훌륭한 모델이고, 저도 슈넬님의 아이디어로 개인적으로 연구를 많이 해보았으며, 제가 느낀바를 말씀드리는 겁니다. 화이팅 입니다.
G 산수유~ … 2014.03.16 12:31  
한가지만 더 말씀드리자면, 저 엑셀 시뮬레이션에서 2004년에 2014년(현재) 시점의 지수를 통한 박스권매매을 만들어서 하셨네요. 그래서 레버리지를 전액 투자로 하신거군요. 2004년 근거해서 박스권을 만드시는건 어떠신지요.?
G 슈넬 … 2014.03.16 12:40  
제가 이 방법을 고안한것도 머랄까.. 많은사람들이 1900선에서 사고 2000선에 판다는 기사와 롱숏펀드, 헤지펀드의 등장으로 개미들의 학습효과로 인해 전 당분간 이 박스권이 유지될거라고 보고 있고, 2011년 4월경 최대치를 찍은 코스피가 그 이후 지금까지 거대한 박스권을 그리고 있기때문에 고안한것입니다.. 과거였다면 이방법은 옳지 않은 방법이겠지요.. 에초에 인버스 레버리지도 없어서 이 설계자체가 안됩니다.. ㅎㅎ; 2004년에는 그냥 kodex200을 사서 홀딩하는게 더 현명하지 않았을까요? (다른 ETF도 딱히 없었네요 그시절에는) 이방법은 타이밍 맞게(?)인지는 몰라도 인버스 레버리지 출현이후에는 수익구간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