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덱스ETF 투자법 200 VS 레버리지 비교

인덱스ETF 투자법 200 VS 레버리지 비교

G 10 1558 0 0
200 NAV, 인버스, 200, 레버리지(현재자료는 모두 TIGER입니다. KODEX보다 TIGER가 더 수익률이 좋더군요.. 어차피 15:00 종가거래고요.)
일별 수치구한곳 아래링크에서 1년단위로 조회후 다운로드하면 쉽게 추출할수있습니다.
http://etf.krx.co.kr/m02/m0203/m020...

해당 게시물에 첨부파일에 엑셀파일로 저장되어있습니다. 받아서 보시면됩니다.

파일 보시는법 (윗줄에 변수를 다 넣어놓았습니다.)
B1 : 초기투자금
D1 : 초기투자금 + 박스권벗어날시 예비금합
F1 : 총수익금 / 총투자금
G1 : 위치값를 몇개로 나눌것인지 (100% / G1)
H1 : 박스권 하단 (TIGER 200 NAV값 기준) NAV : ETF의 순자산가치
I1 : 박스권 상단
J1 : 박스권 상단 - 박스권 하단 값
K1 : 최대예비금 최대값 (박스권통과瑛뻥 필요한 금액)
M1 : (초기투자금+예비금) 대비 예비금을 몇퍼센트 가지고 있어야되는지 값
P1 : 직전거래 대비 최소 거래가능 NAV 퍼센트
(0.26%로 되어있는데 예를들어 직전 거래에서 25000에 거래 되었으면 0.26%를
곱한값인 25065이상 24935이하로 변동이 있어야 거래가 되게 만들어 놓음)

빨간색 바탕은 손대면 틀어집니다.
파란색 바탕은 맨 윗줄은 변경은 가능한대 지우면 틀어질거고요.
아래쪽은 원하는 날짜에 맞는 수치 입력하시면 그대로 적용됩니다.

거래법이 수정이 있습니다.
박스권 상단 ~ 하단을 9개로 나눈다음 9개의 한구간에서 다른구간으로 이동하면
총투자금에 9분의 1된 수량만큼 인버스와 (200 or 레버리지)를 사고 팔게 만들었습니다.

오른쪽에보시면 기준이 되는 최소 최대값이있고, 3개월 수익률 1년 수익률도 적혀있습니다.
가지고 노셔도 되고 실험해보셔도 됩니다. (파란부분수정..)

인버스 + 레버리지 조합이 더 수익률이 좋긴 좋군요.

질문하실거 있으면 질문해주시고 좋은결과나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0 Comments
G 산수유~ … 2014.03.16 10:41  
이 기법을 시스템으로 구현하면 참 좋을듯 하네요^^, 문제는 종가가격으로 매수 매도가 불가능하므로, 약간의 불확실한 2시50분~3시 사이에 주문해야 하겠네요.
G 산수유~ … 2014.03.16 10:53  
최근 롱숏, 박스권매매가 정말 좋은기법이긴 합니다. 그런데 혹시 과거 대세상승장에서 시뮬레이션은 해보셨는지요? 아무래도 대세상승으로 넘어가게 되고, 이후 하단으로 안내려오게 된다면, 손실이 무한대로 가더군요. 여유 현금자금과 월급이 들어오더라도, 애초 초기 자금이 크면 평단가 낮추는게 한계가 있습니다.
G 슈넬 … 2014.03.16 10:52  
과거 지속상승장에는 안좋은 기법입니다. 한번 테스트해봐야겠네요.
G 산수유~ … 2014.03.16 10:54  
kodex 200은 과거부터 존재했으므로, 데이터를 위 주소에서 구하실수있을꺼에요. 인버스는 역으로 계산하셔서 만드셔야 합니다.(저도 만들어보았는데, 먼가 kodex200이랑 반대방향으로만 가는건 아니더군요)
G 슈넬 … 2014.03.16 12:04  
다했네요.. 추정치는 간단하게 NAV를 나누기로 했습니다.
G 어쭈꾸루 … 2014.03.16 19:54  
도움 전혀 안되는 수익률 인증엔 추천이 많이 달리는데 이런 영감을 얻을 수 있는 아이디어나 매매법이 여기선 별 관심을 못받는 거 같네요.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박스권 10년가까이 하다 하방으로 흐른 일본식 흐름만 안나오면 괜찮은데 인구나 사회구조가 너무 비슷한지라....
G 슈넬 … 2014.03.16 21:44  
장기적으로는 일본처럼 갈것같네요 다만, 통일이 변수겠죠 인구급증과 개발호재는
G 천천히느리게걷기 … 2014.03.16 21:38  
이런 엑셀파일 하나 만드는 게 보통 노가다가 아닌데..노고에 감사드립니다.^^ 예전에 비슷한 시나리오로 테스트 프로그램을 만들어 돌려본 적이 있는데.. 박스 상하단과 구간 나누기에 따라 결과값이 임의적으로 달라져서 그 차이가 왜 생기는가 고심했던 일이 있습니다. 프로그램으로 찾은 결과값 중의 하나인 G1: 6, H1: 24500, I1: 27550 에 맞추면, 매매횟수는 줄어들면서도 수익률은 높아지지만, 과거의 데이터로 끼워맞추기라는..앞으로의 상황이 과거와 비슷해야 하는.. 예상상황이 망가지지 않아야 한다는 걸 고려해야 겠지요.
G 슈넬 … 2014.03.16 21:45  
끼어맞추기가 결국되는것 같더군요 g1값을 너무 낮추면 현실성이 떨어지고요.
G 천천히느리게걷기 … 2014.03.16 22:12  
g1값을 너무 낮추면 생기는 문제점 중의 하나가, 지수 저항/지지대를 그냥 지나치는 일이 생기죠. 잔파동은 지나치고, 큰 파동이 생겨야 되는데..매매횟수가 줄어드는 것도 같은 이유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