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all-in 을 할수 있는가?

당신은 all-in 을 할수 있는가?

G 10 3395 0 0
   흔히들 말하기를

   1.주식투자는 위험하니 분산투자하라

   2.계란을 한바구니에 담지마라

   3.싸게 사서 길게 가져가라

   4.장기투자만이 정답이다

   5.기본적분석을 충실하게 하고 기술적분석(차트)를 맹신하지마라

   ....기타 등등


    해석합니다



   주식은 위험자산입니다 주식계좌에 돈이 들어있는한 어떠한 주식도 위험합니다

   상장주식자체가 위험한데 아무리 분산투자해도 위험은 줄지 않습니다

   오히려 보유종목수가 늘어날수록 수익률은 적어지며 리스크는 줄어들지 않습니다

   시장이 오를시엔 오르는것만 집중해서 오르고 대다수의 종목은 박스 또는 하락세가 그대로이므로

   나머지 종목들이 수익률 저하를 일으키고,

   반대로 시장하락시엔 거의 모든종목이 동반 하락하므로 한두종목이 강하다고 해도

10 Comments
G 파생고수 … 2014.07.05 20:09  
기존 탑픽 1. 네이버,하이닉스 =>한전은 일단 제외 올여름 탑픽주 1. 엘지 디플 & 전자 2. 삼성 물산 & skt 주식선물 기초자산만 해당됨..
G 주황색이 … 2014.07.06 03:05  
한전은 왜 제외인가요?@_@
G 파생고수 … 2014.07.06 23:32  
정정합니다.. 기존탑픽 유지합니다.. 단, 지수가 맥없을 경우 유리합니다.. 수익률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돌파매수가 아닌 중기박스 저점매수로 진입시작예정입니다.. 포인트는 3.5~3.6 시간이 다소 걸릴수 있어서 엘엘 우선적으로 잡고 비중은 적게 시작합니다.. 매매기준점은 3.5에서 4.2까지 설정하고 목표수익률은 저점대비 현물기준 +20%, 주식선물 ×5.5배 => +110% 박스매매 이후엔 재차 분석 & 종합판별, 4.0 안착확인후 신고돌파매매로 전환합니다.. 여기서부턴 불타기 올인시작합니다.. 이후 목표는 다시 +20%, 5.0 입니다.. 내일부터 최근 리포트 꼼꼼히 볼 예정.. 가치분석과 상승모멘텀,매매타이밍이 정확(퍼펙트)하다면 손실이 발생될 확률은 시장과 상관없이 제로에 수렴합니다..
G [* 비회원 *] … 2014.07.05 20:08  
일리있네요... 배우고 갑니다.
G 래쉬가드 … 2014.07.05 20:19  
좋은글 감사합니다.
G [* 비회원 *] … 2014.07.05 20:51  
요건 캐바캐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잘되면 집중투자만큼 좋은게 없는데, 처음부터 1~2종목에 집중하여 손실이 날때와 종목을 분산했을때 전부다 마이너이스일 확률이 좀더 적지 않을까 하는 생각과, 분산종목안에서도 내맘대로 움직이지 않을경우 분할로 정리해서 가는쪽으로 더 실어줄수도 있는것이구요. 또한 심리적인면에서 종목을 집중했을때 제대로 투자했음에도 불구하고 적은 손실률에도 흔들릴 가능성이 많다고 봅니다..
G 파생고수 … 2014.07.06 00:51  
위 탑픽중 4차 분할 올인 접근중입니다.. 몇가지 세부적인 원칙중 빠진것이 많은데 그중하나는, 1.일년에 한번 투자하더라도 내계산과 일치하지 않는 타이밍은 절대 들어가지 않는다.. 2.올인계획세우되 철저히 분할로 접근하고 오를수록 추가베팅금액을 늘리되 최대 매수하한선을 정하며 그이하는 컷라인으로써 하늘이 무너져도 목숨걸고 지킨다.. 3.계획이 철저했음에도 불가피한 상황이 올경우 한시간안에라도 진입가격에 상관없이 전량청산한다.. 4.종합지수와 다우지수가 하한가가더라도 절대로 흔들리지 않을 탑픽중에 탑픽을 압축선정한다.. 5.주식투자의 성공은 퍼펙트한 진입(매수)포인트에 있다..
G [* 비회원 *] … 2014.07.05 21:18  
덧글로 주신 5가지 세부원칙을 지킬수 있는 실력을 갖추신, 잘하시는 분들에게는 정말 문제가 없는 전략입니다. 파생고수님 생각에 저도 많은 동의를 하지만, 문제는 대부분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죠....................
G Bi0BeeR … 2014.07.05 20:59  
1번에 대한 첨언... 주식투자의 위험은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systematic risk와 unsystematic risk. 전자는 세계경제나 국가경제로인한 주식시장 전체의 위험을 말하고 후자는 각업종이나 각회사의 고유한 위험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전자에 해당하는 것이 금융위기와 같은 것이고 후자는 동양이나 stx의 소유주의 성향에 의한 회사의 재무상태악화. 분산투자는 후자의 위험만을 감소시킬수 있는 장치입니다. 즉 주식내 파생시장을 제외하면 전자의 위험에 대한 해지를 할수 있는 경우가 거의 없다시피하죠. 그래서 장 전체가 나쁘면 그냥 현금을 보유하거나 정이나 안전투자를 하려면 종목수를 줄이고 베타계수가 작은 경기방어주와 같은 주식에 투자하라는 것이죠.포폴의 구성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습니다만 수익률을 극대화하기 위해 전체적인 시장상황이나 업종별 상황에 따라 다르게 짜게 되겠죠...
G 파생고수 … 2014.07.05 21:53  
이론설명 감사합니다.. 실전투자는 이론투자와 일치하는 경우보다 불일치할확률이 월등하게 높습니다.. 현재 방어주 민감주 개념 없어진지 꽤 오래된것으로 보입니다.. 하이닉스가 방어주 일까요 한국전력이 민감주 일까요 네이버는 민감주? 방어주? 방어주인 Skt는 가는데 kt는 왜그런지.. 그것보다 독점과 모멘텀,미래가치(수익,청산)를 이해하는게 좋을수도.. 현재 변동성(10~11)으로 파생헷지가 과연 가능한지.. 현재 주식보유상태로 과연 선물매도헷지가 될지.. 현재 선물보유상태로 과연 옵션매수헷지가 될지.. 위에도 설명했지만 100% 위험자산인 주식자산내에서의 분산투자는 넌센스로 생각됩니다.. 분산투자는 총자산 포트폴리오중 ⊙현금성자산-위험자산(원금비보장-주식선물옵션) 안전자산(원금보장-예적금,채권등) ⊙비현금성자산-부동산 ⊙보장성자산-보험,연금 여타 등등해서 나눌때 자산포트폴리오가 가능하겠지요.. 제 경험상으로 정확하게 보자면 한정된 금액을 가진 일반 개인투자자가 주식으로 부자가 되기위해서는 다종목 분산투자 보다 단일종목 분할투자가 더욱 유리하다고 봅니다.. 대다수 손실보는 투자자중 다종목투자자가 많을것으로 봅니다.. 다종목을 선호하는 이유중하나는 시장리스크의 두려움때문이고, 종목에 대한 분석력미비로 인한 자신감부족때문이고, 많이 가지고 있을수록 심리적안정감과 다양한 종목에대한 욕심때문입니다.. 아울러 분산투자보단 현금보유가 월등히 우월합니다 마지막으로 한마디, 대박식당은 메뉴가 하나 내지는 매우 심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