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락장에서의 대응법

폭락장에서의 대응법

G 1 842 0 0
간혹 들어 와서 정보를 얻고 가는 사람 입니다.
예전에는 글도 간혹 쓰고 했는데.......간혹 얻는 정보 중에 저는 그것이 저에게 정말 도움이 되는게 있었습니다.
생각해 보니 크게 도움 된 적이 없는데 오늘 같은 장에서 조금 도움이 될까 하고 글 써 봅니다.

-. 제목에서 폭락장이라고 했는데 정확히는 시초가가 갭하락한 장입니다.
-. 전체 종목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개별적 사유로 인한 하락중 거기에 속도를 붙이는 경우는 아님니다.
-. 주식은 확률과 관리의 게임입니다. 법칙이 아닌 게임이라고 하는 이유는 언제든지 변수가 있다는 말입니다. 하지만 그 변수를 최소화 하고 한번이 아닌 여러번의 데이터를 갖고 하면 게임의 룰이 됩니다.

전일 마감이후 많은 일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것이 시장 전체에 미치는 사건이 터졌을때 종목을 보유 하고 있는 사람들은 불안해 합니다.
여기에 그 결과인양 시장 전체가 시가를 갭 하락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부분 여기 반응 하는 경우는 2가지 정도 됩니다. 시초가 매도나 그냥 보지 않는다.

1. 시초가 매도는 옳은 판단이 아님니다.
물론 더 내려 갈 수도 있지만, 조건에서 말했다시피 개별종목에는 큰 문제가 없는 상태라면 갭하락 자체가 이마 시장 전체의 문제점을 반영한 상황입니다. 그러니 이런 경우-특히 흐름이 좋거나 꽤 좋은 종목인 경우는 일단 기본 분단위(개인마다 보는게 다르니..)를 한번 지켜 보고 매매를 결정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그냥 보지 않는 경우가 최악입니다.
앞서 말 한 것 처럼 일단 주가는 장 전체가 갭 하락시-특히 장보다 특별한 이유 없이 더 하락 한 경우는 원 가격대로 갈 가능성이 크지만, 종목의 특성으로 그 폭이 더 커 질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매량이 적거나 재수 없게 미수금이 많이 쌓여 있는 종목이라든가 ...등등 이유는 만들면 얼마든지 있습니다. 최소한 장 시작과 함께 1~2시간 정도는 보면서 판단, 관리를 해 주는 것이 맞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주식은 확률과 관리의 게임입니다. 1안이 확률의 문제이고 2안이 관리의 문제 입니다. 여기에 100%가 아닌 개별성을 지녀서 게임의 문제가 되는 거구요.


대박 나세요.....생각 보다 글 쓰는 시간이 걸렸네요. 빨리 올릴려 했는데 아무쪼록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 Comments
G 밤비에새잎나거든 … 2015.08.21 09:53  
관리의 문제.. 동감합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