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절이 필요한 이유
증포를 꾸준히 눈팅하다보면 리스크 관리방식에 있어 크게 존버파와 손절파로 나뉘는 것 같습니다. (저는 손절파입니다.)
특히, 상승장에서는 존버파가 득세하고, 하락장에서는 손절파가 득세하는 양상을 보이는데요.
누가 맞고 틀렸다 논하기는 힘들겠지만, 각각의 장단점은 따졌을 때 우위는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존버(존나 버티기)의 장,단점은 이렇습니다.
장점: 손실을 확정하지 않기 때문에 나중에 원금을 회복할 기회가 있다.
단점: 원금회복의 기회가 언제 올지 모른다. 기회가 오지 않을 경우 한번에 훅간다.
손절의 장,단점은 이렇습니다.
장점: 손실을 미리 차단하여 더 큰 손실을 막는다.
단점: 손실을 확정한다.
장,단점만 놓고 봤을때 존버가 좋아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럼, 계좌가 반토막나는 상황을 가정해보죠. (요즘 같이 쭉쭉빠지는 장에서 충분히 가능한 상황입니다.)
존버의 경우에는 그냥 버티고 있으니까 한번에 계좌가 반토막이 나버립니다.
손절의 경우는 3가지 상황을 가정해 보겠습니다.
1% 손절시: http://www.wolframalpha.com/input/?...
2% 손절시: http://www.wolframalpha.com/input/?...
3% 손절시: http://www.wolframalpha.com/input/?...
위 링크에서 각 n의 값을 보면.
1% 손절시에는 약 69번 연속 손절을 해야 계좌가 반토막이 납니다.
2% 손절시에는 약 34번 연속 손절을 해야 계좌가 반토막이 납니다.
3% 손절시에는 약 23번 연속 손절을 해야 계좌가 반토막이 납니다.
이 말은 즉 지금 손실을 보더라도
1% 손절시에는 앞으로 68번의 투자 기회가 주어집니다.
2% 손절시에는 앞으로 33번의 투자 기회가 주어집니다.
특히, 상승장에서는 존버파가 득세하고, 하락장에서는 손절파가 득세하는 양상을 보이는데요.
누가 맞고 틀렸다 논하기는 힘들겠지만, 각각의 장단점은 따졌을 때 우위는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존버(존나 버티기)의 장,단점은 이렇습니다.
장점: 손실을 확정하지 않기 때문에 나중에 원금을 회복할 기회가 있다.
단점: 원금회복의 기회가 언제 올지 모른다. 기회가 오지 않을 경우 한번에 훅간다.
손절의 장,단점은 이렇습니다.
장점: 손실을 미리 차단하여 더 큰 손실을 막는다.
단점: 손실을 확정한다.
장,단점만 놓고 봤을때 존버가 좋아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럼, 계좌가 반토막나는 상황을 가정해보죠. (요즘 같이 쭉쭉빠지는 장에서 충분히 가능한 상황입니다.)
존버의 경우에는 그냥 버티고 있으니까 한번에 계좌가 반토막이 나버립니다.
손절의 경우는 3가지 상황을 가정해 보겠습니다.
1% 손절시: http://www.wolframalpha.com/input/?...
2% 손절시: http://www.wolframalpha.com/input/?...
3% 손절시: http://www.wolframalpha.com/input/?...
위 링크에서 각 n의 값을 보면.
1% 손절시에는 약 69번 연속 손절을 해야 계좌가 반토막이 납니다.
2% 손절시에는 약 34번 연속 손절을 해야 계좌가 반토막이 납니다.
3% 손절시에는 약 23번 연속 손절을 해야 계좌가 반토막이 납니다.
이 말은 즉 지금 손실을 보더라도
1% 손절시에는 앞으로 68번의 투자 기회가 주어집니다.
2% 손절시에는 앞으로 33번의 투자 기회가 주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