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주가 구하기 기초

적정주가 구하기 기초

G 3 1335 0 0
주가를 정확히 판단할 순 없습니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해당 종목이 비싼지 싼지도 모르는 분들이 많은것 같아 가슴아퍼 올려드립니다.
정말 기초중에 기초라고 생각되는 계산법.
적어도 매수하려면 이정도는 하고 매수하시길...

ps) 특히 지금 물리신 분들은 현 주가와 자신이 산 주가의 괴리를 비교해 보시길 <- 반드시 한번 해보세요.
게시판에 물렸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어보면 누가 100% 조언해줄까요? 남말듣고 주식하는 사람들이 성공한 경우는 거의없죠?
ps) 질문은 안받습니다.
ps) 단타하시는분은 참고만 ~
ps) 뉴스+수급으로만 수익 내시는 분들은 안봐도 됩니다..
ps) 위에도 말했듯이 정확한 판단은 아니더라도 비싼지 싼지는 보입니다. (근데 보통 실적에 수렴합니다. )
여기서 ROE 등으로 성장성이 더 보이고, 향후 매출&이익 대비를 생각하면 주가가 보이겠죠
ps) 여기서 말하는 PER 기준은 시장 상황에따라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보통 fix 된 상황이죠
ps) 그냥 일반적인 기준을 보는 겁니다. 완벽한거 아니니 테클걸지 마시길. -_-
ps) 테마주는 전혀 관계 없습니다. 단. 향후 실적이 동반디는 테마주는 그에 맞춰 결국 수렴함.



-------------- 검색하면 바로 나옵니다. 부족한 분들은 검색해서 더 확인해보세요. 책에도 나오죠^^-----------
1) 예상 EPS를 이용하는 방법
추정된 자료에서 산출된 예상되는 주당순이익을 구하여 PER을 구해 구하는 방법
(주당순이익= 해당 기업의 연 순이익 / 발행 주수)   PER*EPS=주가

2) PBR이나 장부가치를 이용하는 방법
PBR은 기업의 순자산입니다. (순자산은 전체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값 입니다.)
때문에 주당 순자산(BPS, 해당 기업의 순자산 / 발행 주수)를 구하고요.
동종 산업군이나 비슷한 기업들과 PBR 수치를 비교하여
적정한 PBR 수치를 구한 뒤 둘을 곱하는 방식입니다.

3 Comments
G Ash.lee … 2015.11.18 19:02  
참고로 보통 증권사에서 레포트에도 적정주가가 있습니다. 그것도 어떻게 계산되는지 한번 보세요^^ 방법은 여러가지이며 이런 과정을 통해 종목선정 실패 및 익절 가격을 세우는 전략이 됩니다.
G [* 비회원 *] … 2015.11.18 19:19  
좋은 글이네요. 추천합니다. 다만 업종별로 적정 PER이 다르고, 향후 전망등으로 프리미엄이 많이 붙어 있는 종목도 있으며, PBR은 업황에 따라 인정을 못 받는 종목들이 수두룩하죠. 그리고 조선주들처럼 손실부분 숨기고 있다가 한번에 반영하면 저 PBR에서 자본 잠식으로 한순간이죠... 그래서 가치 지표는 과거와 현재의 실적은 보여주지만, 미래의 가치는 주가에 많이 반영이 되더군요. 이부분은 보시는 분들이 참고 하셨으면 합니다. 요즘 대세인 바이오주들은 기대감이 많이 반영되어, 대표적인 저 EPS, PBR 고 PER이죠.
G Ash.lee … 2015.11.18 20:11  
대충 언급했는데, 자세히 적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실 ... 예전과 다르게 여기 게시판 급등주이야기가 전부인듯하네요. 접근이 쉽죠^^ 대박나기도 쉽고^^ 깡통차기도 쉽고.. 하지만 이런거만 어느정도 알아도 이게 테마주이고 내가 낚일껀지? 혹은 단타를 얼만큼 해야할지 대충 감이 ? 보이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