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주가 구하기 기초
주가를 정확히 판단할 순 없습니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해당 종목이 비싼지 싼지도 모르는 분들이 많은것 같아 가슴아퍼 올려드립니다.
정말 기초중에 기초라고 생각되는 계산법.
적어도 매수하려면 이정도는 하고 매수하시길...
ps) 특히 지금 물리신 분들은 현 주가와 자신이 산 주가의 괴리를 비교해 보시길 <- 반드시 한번 해보세요.
게시판에 물렸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어보면 누가 100% 조언해줄까요? 남말듣고 주식하는 사람들이 성공한 경우는 거의없죠?
ps) 질문은 안받습니다.
ps) 단타하시는분은 참고만 ~
ps) 뉴스+수급으로만 수익 내시는 분들은 안봐도 됩니다..
ps) 위에도 말했듯이 정확한 판단은 아니더라도 비싼지 싼지는 보입니다. (근데 보통 실적에 수렴합니다. )
여기서 ROE 등으로 성장성이 더 보이고, 향후 매출&이익 대비를 생각하면 주가가 보이겠죠
ps) 여기서 말하는 PER 기준은 시장 상황에따라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보통 fix 된 상황이죠
ps) 그냥 일반적인 기준을 보는 겁니다. 완벽한거 아니니 테클걸지 마시길. -_-
ps) 테마주는 전혀 관계 없습니다. 단. 향후 실적이 동반디는 테마주는 그에 맞춰 결국 수렴함.
-------------- 검색하면 바로 나옵니다. 부족한 분들은 검색해서 더 확인해보세요. 책에도 나오죠^^-----------
1) 예상 EPS를 이용하는 방법
추정된 자료에서 산출된 예상되는 주당순이익을 구하여 PER을 구해 구하는 방법
(주당순이익= 해당 기업의 연 순이익 / 발행 주수) PER*EPS=주가
2) PBR이나 장부가치를 이용하는 방법
PBR은 기업의 순자산입니다. (순자산은 전체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값 입니다.)
때문에 주당 순자산(BPS, 해당 기업의 순자산 / 발행 주수)를 구하고요.
동종 산업군이나 비슷한 기업들과 PBR 수치를 비교하여
적정한 PBR 수치를 구한 뒤 둘을 곱하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해당 종목이 비싼지 싼지도 모르는 분들이 많은것 같아 가슴아퍼 올려드립니다.
정말 기초중에 기초라고 생각되는 계산법.
적어도 매수하려면 이정도는 하고 매수하시길...
ps) 특히 지금 물리신 분들은 현 주가와 자신이 산 주가의 괴리를 비교해 보시길 <- 반드시 한번 해보세요.
게시판에 물렸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어보면 누가 100% 조언해줄까요? 남말듣고 주식하는 사람들이 성공한 경우는 거의없죠?
ps) 질문은 안받습니다.
ps) 단타하시는분은 참고만 ~
ps) 뉴스+수급으로만 수익 내시는 분들은 안봐도 됩니다..
ps) 위에도 말했듯이 정확한 판단은 아니더라도 비싼지 싼지는 보입니다. (근데 보통 실적에 수렴합니다. )
여기서 ROE 등으로 성장성이 더 보이고, 향후 매출&이익 대비를 생각하면 주가가 보이겠죠
ps) 여기서 말하는 PER 기준은 시장 상황에따라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보통 fix 된 상황이죠
ps) 그냥 일반적인 기준을 보는 겁니다. 완벽한거 아니니 테클걸지 마시길. -_-
ps) 테마주는 전혀 관계 없습니다. 단. 향후 실적이 동반디는 테마주는 그에 맞춰 결국 수렴함.
-------------- 검색하면 바로 나옵니다. 부족한 분들은 검색해서 더 확인해보세요. 책에도 나오죠^^-----------
1) 예상 EPS를 이용하는 방법
추정된 자료에서 산출된 예상되는 주당순이익을 구하여 PER을 구해 구하는 방법
(주당순이익= 해당 기업의 연 순이익 / 발행 주수) PER*EPS=주가
2) PBR이나 장부가치를 이용하는 방법
PBR은 기업의 순자산입니다. (순자산은 전체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값 입니다.)
때문에 주당 순자산(BPS, 해당 기업의 순자산 / 발행 주수)를 구하고요.
동종 산업군이나 비슷한 기업들과 PBR 수치를 비교하여
적정한 PBR 수치를 구한 뒤 둘을 곱하는 방식입니다.